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광주 화정동 붕괴사고 중앙사고수습본부 구성‧운영
행안부‧국토부‧고용부‧소방청 등으로 구성
안경덕 중수본부장 24일 첫 회의 개최 "신속·안전한 탐색‧구조"

광주 화정동 신축아파트 붕괴사고 현장.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정부가 지난 11일 광주 화정동 아파트 신축공사 붕괴사고 관련,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를 운영한다고 23일 밝혔다.

중수본은 신속한 수색활동 등을 지원하며 재난안전분야 특별교부세를 긴급 교부해(행안부→광주시), 탐색·구조 활동과 관련해 현장에서 발생하는 재정수요에 대응한다.

[고용노동부 제공]

중수본은 행안부·국토부·고용부·소방청 등 관계기관으로 구성되며, 근로자 수색, 현장 수습, 피해 지원 등을 총괄 지원한다. 소방청은 지난 21일 구성한 중앙긴급구조통제단을 통해 안전한 수색환경이 마련되면 전국의 구조인력을 가동한다. 국토부가 지난 13일부터 운영 중인 건설사고대응본부도 중수본에 편제돼 건축물·구조물 안전점검, 현장 수습 등에 대한 검토를 주관한다. 행안부는 근로자 가족과 인근건물 이재민 등에 대한 심리상담, 구호 활동 등 피해 지원을 총괄한다.

안경덕 중수본부장은 오는 24일 오후 3시 이번 붕괴사고 현장 인근에서 첫 회의를 개최한다. 관계기관으로부터 탐색·구조 활동(소방청), 타워크레인 제거(고용부), 붕괴건물 안정화(국토부), 근로자 가족 지원(행안부) 등 관련 상황과 지원계획을 보고받고, 탐색·구조 계획 지원방안 등을 논의한다.

안 본부장은 “신속한 근로자 탐색·구조, 현장 수습, 피해지원 등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노력과 역량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22일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의 지원을 한층 강화하고, 지자체와 협의해 고수습 과정 전반에서 정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안 장관은 “타워크레인 안정화 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붕괴사고 건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앞으로 중앙사고수습본부가 광주지역재난대책본부와 함께 신속하고 안전한 탐색‧구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