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ESS 34건 화재,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 타격 불가피
SK에너지 울산공장 등서 2건 발생…정부, 4월께 3차 조사 마무리
사진은 새만금 육상태양광 발전시설 현장.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연초부터 2건의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가 발생하면서 ESS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또다시 되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이후인 2017년 8월부터 이달까지 총 34건의 ESS 화재가 발생했다.

정부가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한 3차 조사를 곧 마무리할 예정인 가운데 1·2차 때보다 더욱 강도 높은 안전 규제가 나올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무엇보다 ESS 화재가 계속되면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에 타격이 불가피하므로 3차 조사에서는 더욱 강력한 안전 규제가 뒤따르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많다.

19일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8월부터 작년까지 5년간 총 32건의 ESS 화재가 발생했고 약 466억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여기에다 올해 들어 지난 12일 SK에너지 울산공장, 17일 경북 군위 태양광 발전시설에서 잇달아 ESS 화재가 발생하면서 총 화재 건수는 34건으로 늘었다. ESS는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내보내는 장치다. 밤이나 바람이 없는 날 등 태양광과 풍력이 전기를 생산할 수 없을 때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꼭 필요하다.

ESS 설비에서 처음 불이 난 것은 2017년 8월 전북 고창에서다. 이 화재를 시작으로 2018년 5월부터 이듬해 12월까지 27건의 화재가 연이어 발생했다. 정부는 2019년 1월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를 꾸렸고 그해 6월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등을 화재 원인으로 발표했다.

그럼에도 화재가 계속되자 정부는 2019년 10월 'ESS 화재사고 조사단'을 구성해 2차 조사를 벌였다. 2020년 2월 발표된 2차 조사 결과에서는 1차 때와 달리 배터리 이상(결함)이 주요 화재 원인으로 꼽혔다.

정부는 2차 조사 결과를 토대로 옥내는 80%, 옥외는 90%로 ESS 가동률을 제한했다. 또 이 기준을 초과하면 해당 월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0'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과충전을 막아 안전성을 높이겠다는 의도다.

하지만 그 뒤로도 2020∼2021년 4건의 화재가 또다시 발생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작년 6월부터 조사단을 꾸려 3차 조사를 진행 중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기안전공사를 중심으로 외부 전문가들이 사고 원인 등 규명을 위해 현장 조사와 실증을 하고 있다"면서 "4월쯤 결론이 날 것으로 본다"면서 "올해 발생한 화재는 아직 소방청 등에서 초동 조사를 하고 있어 조사단이 들여다보는 사안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어 "3차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보완 대책을 추가로 마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정부 안팎에서는 1차와 2차 조사 때 화재 원인이 다르게 지목됐던 만큼 3차 조사 결과가 향후 ESS 정책 기조와 업계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일각에선 정확한 화재 원인이 밝혀질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2017∼2021년 발생한 ESS 화재 중 23건은 발화요인을 파악하지 못해 화재 원인이 '미상'으로 분류됐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