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밖 반응에 李 SNS에 영상까지…청년 탈모 초청 간담회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 후보의 탈모 공약과 관련한 유튜브 쇼츠(짧은 영상) 홍보 영상물 |
[헤럴드경제=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이재명은 심는 겁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 후보가 지난 4일 탈모 공약과 관련해 유튜브 쇼츠(짧은 영상) 형태로 홍보 영상물을 제작 배포하면서 1000만 탈모인들의 반응이 폭발적이다. 해당 영상은 이재명 후보가 직접 출연해 ‘이재명을 뽑는다고요? NO 이재명은 심는 겁니다’는 다소 유쾌한 내용과 함께 탈모 공약 관련 추가 제안을 받는다고 알리고 있다. 탈모약은 복용자는 엄청나게 많지만 급여화 되어있지않은 대표적인 약제이다.
실제 탈모와 관련된 많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이재명은 합니다’라는 슬로건에 빗대 ‘이재명은 심습니다’ ‘청와대에 이재명 심는다’ 등의 문구들이 올라오고 있다. 누리꾼들은 “이재명은 프로페시아 같은 분이다”라며 “이 후보의 경기도지사 공약 이행률은 98%”라고 “탈모 때문에 병원을 안 가본 사람은 저 공약이 얼마나 절실한지 모른다. 탈모약에 한 푼이라도 아끼기 위해서 종로 약국을 뒤지고 해외 직구를 하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미 FDA에서 승인한 먹는 탈모제인 프로페시아와 아보다트의 경우, 프로페시아는 한달에 약 5만5000원 가량으로 1년에 약 70만원, 아보다트는 한달에 약 2만~2만5000원으로 1년이면 많게는 약 30만원이 소요되어 비용이 만먼찮은 것이 현실이다. 많은 탈모인들은 바용을 줄이려 프로페시아와 아보다트의 복제약(제네릭) 치료제를 복용하기도 하는데 복제약 값도 1년이면 수 십만원이 훌쩍 넘어간다.
더불어민주당은 5일 이재명 대선 후보가 공약으로 검토 중인 탈모치료제 건강보험 적용 방안이 뜨거운 호응을 얻자 반색하는 분위기다. '탈모약 건강보험 적용'은 지난 2일 민주당 다이너마이트 청년선거대책위원회가 2030세대로부터 제안을 받아 이 후보에게 건의한 공약 중 하나다. 이를 이 후보가 이른바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공약'으로 검토한다는 사실이 4일 알려지면서 온라인 탈모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적잖은 반향을 낳았다.
이 후보는 그러자 페이스북에 "毛(모)를 위해! 나를 위해!"라고 적은 데 이어 자신이 직접 출연해 "이재명을 뽑는다고요? 이재명은 심는 겁니다"라고 말하는 15초 분량 동영상을 만들어 유튜브와 SNS 등에 올렸다. 탈모인에게 민감한 '뽑는다'는 표현 대신 '심는다'는 표현을 활용해 표심을 파고든 것이다.
선대위 김남국 온라인소통단장도 이날 저녁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디씨)'에 글을 올려 자신의 '좌우 비대칭 M자 탈모' 이력을 고백하는 한편, 탈모 정책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모아달라고 요청했다. 공약을 발굴한 청년선대위는 이날 오후 마포구 미래당사에서 '청년 탈모 비상대책 위원회 초청 간담회'까지 마련했다. 민주당은 이 후보가 그동안 매일 SNS에 올린 약 40개의 '소확행' 공약이 큰 반향을 얻지는 못했던 상황에서 탈모 공약의 예상 밖 호응에 상당히 고무된 분위기다.
특히 탈모공약이 피부에 와닿는 실질적인 정책이라는 점에서 단순히 탈모인을 떠나 일반 유권자에게도 '일상을 챙기는 민생 대통령' 이미지를 부각할 수 있다고 본다. 박완주 의원은 SNS에서 해당 공약에 대한 호응이 "가히 폭발적"이라고 전하면서 "이재명 후보는 공약 제안을 받은 자리에서 바로 '소확행' 공약 검토를 지시했다. 섬세하게 국민을 살피는 민주당 이재명 후보"라고 홍보했다.
디시인사이드 '탈모갤러리' 캡쳐 |
강훈식 의원도 MBC라디오에서 "국민은 작은 것이라도 내 삶을 어떻게 바꿔줄 것이냐(에 관심이 많다)"면서 "국가가 나를 위해서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를 묻는 것이 MZ세대의 요구로 알기에 그런 부분에 좀 더 기민하게 움직이겠다"고 밝혔다.
다만 일각에서는 탈모 치료제의 건보 적용시 건보 재정이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포퓰리즘 공약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같은 논리라면 다이어트 치료나 피부 레이저 시술 등에도 건보 적용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두관 의원은 이에 CBS라디오에서 "우리가 선진국이고 상당히 국부도 늘어났기에 그러한 소소한 부분도 국가가 잘 살펴보는 복지 선진국으로 가야 하니까 그런 차원에서 한번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kt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