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CES2022] 로봇, 자율주행…SF영화가 현실이 되다
車·모빌리티 업계, 이동의 확장 가능성 보여줘
현대차, 사물모빌리티 생태계 구현 기술 소개
GM, 실버라도 전기차 통해 탄소중립 전략 제시
현대모비스·콘티넨탈 등 부품사도 주목
현대자동차 ‘CES 2022’ 참가 티저 이미지. [현대자동차 제공]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 완성차 업체나 자동차 부품업체가 참여하는 것은 이제 낯설지 않은 풍경이다. 전동화의 흐름에 따라 자동자 자체가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로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CES 2022는 한걸음 더 나아가 자율주행과 로봇 기술을 융합해 이동의 지평을 넓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바야흐로 공상과학(SF) 영화가 현실이 되는 셈이다.

새해 벽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2022에 참여하는 완성차 및 모빌리티 기업은 자율주행과 로보틱스 등 소비자의 생활을 변화시킬 첨단 기술을 선보인다.

현대차는 ‘이동 경험의 영역을 확장하다’를 주제로 로보틱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전략을 선보인다. 지난 CES2020에서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전략을 소개했던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이번에도 직접 나와 로보틱스 사업의 큰 방향과 철학을 제시할 가능성이 크다.

현대차는 모든 사물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사물모빌리티(MoT)’ 생태계를 구현하기 위해 핵심 로보틱스 기술인 ‘‘플러그 앤 드라이브(PnD)’ 모듈을 최초로 공개할 예정이다. 바퀴와 몸체를 자유롭게 조정해 어떤 지형에서도 움직일 수 있는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MobED)’의 실물도 전시한다.

현대차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 [현대자동차그룹 제공]

앞서 현대차그룹이 인수한 보스턴다이내믹스의 대표 로봇 ‘스폿(SPOT)’과 ‘아틀라스(ATLAS)’도 일반 관람객에 그 매력을 뽐낸다.

메리 배라 제너럴모터스(GM)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CES2021에서 기조 연설을 하고 있다. [CES 홈페이지 캡처]

제너럴모터스(GM)의 메리 배라 회장은 온라인으로 생중계되는 CES 기조연설을 통해 탄소중립과 전기차 전략과 픽업트럭 ‘실버라도(Siverado)’의 첫번째 전기차 모델을 공개한다. 최장 400마일의 주행거리를 확보한 실버라도 전기차 모델은 지난 2020년 ‘팩토리 제로(Factory Zero)’로 이름을 바꾼 디트로이트 햄트랙 공장에서 생산된다.

GM의 고급 브랜드 캐딜락 역시 플래그십 전기 세단 ‘셀레스틱(Celestiq)’을 공개할 것으로 알려졌다.

스텔란티스(Stellantis) 그룹은 크라이슬러의 첫번째 전기차이자 야심작인 ‘에어플로우(Airflow)’를 공개할 예정이다. 에어플로우는 1회 충전에 최대 500마일을 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대형플래그십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iX의 고성능 버전 iX M60을 선보일 예정이던 BMW와 효율성을 극대화한 전기차 콘셉트 ‘EQXX’의 실물을 전시하려던 메르세데스-벤츠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을 우려해 참가를 취소해 아쉬움을 남겼다.

자율주행과 모빌리티 기술의 발전상을 보여주는 부품업체도 눈에 띈다.

현대모비스의 도심 공유형 모빌리티 콘셉트카 '엠비전 POP'[연합]

현대모비스는 메타버스와 접목한 미래 모빌리티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관람객들이 자신의 캐릭터를 만들어 메타버스 공간에서 현대모비스의 모빌리티 기술을 체험하게 한다. 특히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 ‘e-코너 모듈’과 보행자와 소통하는 커뮤니케이션 램프 등 핵심 기술이 접목된 도심 공유형 모빌리티 콘셉트카 ‘엠 비전 팝(M.Vision POP)’과 ‘엠 비전 투고(M.Vision 2GO)’가 주목받고 있다.

콘티넨탈 샤이테크 디스플레이의 나무 패널, 탄소 섬유 또는 가죽으로 덮인 우아한 대시보드 표면과 같은 매력적인 콕핏 디자인 [콘티넨탈 제공]

콘티넨탈(Continental)은 나무 패널이나 탐소 섬유, 가죽으로 덮인 대시보드에 제어 버튼과 콘텐츠가 표시되는 콕핏 디자인과 운전자의 시선을 분산시키지 않는 ‘스위치처블 프라이버시 디스플레이(Switchable Privacy Display)’ 를 소개한다.

보쉬와 루미나 등도 최신 라이다 기술을 통한 자율주행의 발전상을 소개한다.

다만 관심을 모았던 구글의 자율주행 기업 웨이모(Waymo) 역시 방역 문제를 이유로 참가를 취소했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