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단독] “2억 벌었으니 세금 내”…유명업체 사칭 ‘가짜 거래소’ 기승
‘가짜 거래소’ 유인해 투자금·수수료 챙겨
“유명한 회사가 만든 곳” 홍보
서울 서초·송파서 등에서 관련 사건 수사
가짜 컨설턴트로부터 수익의 20%를 세금으로 납부해야 한다는 안내를 받은 A씨. A씨가 가짜 컨설턴트로부터 받은 법인계좌로 송금한 돈은 1억2500만원에 이른다. [A씨 제공]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대표 인터뷰 기사를 보내주면서 믿을 만한 곳이라고 했어요.” 최근 40대A씨는 유료 1대 1 컨설팅에 참여했다 봉변을 당했다. ‘강 팀장’이라 불리는 컨설턴트는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B회사의 새 거래소를 이용해 가상화폐 투자를 하면 고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했다. 처음에 A씨는 반신반의했지만 강 팀장이 보내준 사이트가 B회사 거래소와 대표자·사업자번호가 같자 그를 믿었다.

얼마 뒤 “거래소에서 2억원 이상 수익을 냈다”며 강 팀장은 세금·수수료 명목으로 돈을 요구했다. A씨는 법인계좌를 통해 돈을 보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컨설턴트로부터 연락이 두절됐다. A씨가 지불한 돈은 초기 투자비용·수수료를 포함해 총 1억2500만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유명 가상화폐 거래소 회사를 사칭해 ‘가짜 거래소’로 유인, 고수익을 냈다며 투자금과 수수료 챙기는 유형의 사기 사건이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얼마 전부터 비슷한 형태의 유사 수신 사건이 반복되고 있지만, 일당이 검거돼 피해자가 돈을 돌려받는 사례는 드물어 주의가 요구된다.

28일 헤럴드경제 취재에 따르면 서울 서초경찰서는 A씨의 고소장을 접수해 지난 22일 강 팀장과 법인 2곳을 특정경제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사기)로 혐의로 입건해 수사 중이다. 지난 14일에는 서울 송파서에도 동일한 가짜 거래소를 이용했다가 3000만원의 피해를 입은 C(40) 씨 사건이 접수돼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A씨와 똑같은 가짜 거래소를 이용한 피해자는 현재 3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피해자들이 고소한 접수장에 따르면 이달에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했으며, 서울뿐만 아니라 경기, 전남 등 전국 각지에서 피해자 신고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피해 규모는 10억원대로, 추가 피해자들이 모이면 금액은 늘어날 것으로 피해자들은 예상하고 있다.

B회사에서도 해당 가짜 거래소의 존재를 인지,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B회사는 송파서 사이버수사팀에 가짜 거래소로 이용자가 피해를 입고 있다며 해당 사이트를 신고하려 했으나, 직접 피해를 입은 사람이 신고해야 하는 절차상 규정 때문에 수사 단계까지 가지는 못했다.

이러한 가상화폐 사기 사건 일당은 수십개의 가짜 카카오톡 계정과 유령 법인회사들을 가지고 있어 실제 검거까지 이어지기 쉽지 않다는 게 경찰 측 설명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가상자산 유사수신 피해자는 올해 10월 기준 5854명으로 전년 대비 6배 이상 증가했고, 피해액도 2136억원에서 2조9299억원으로 무려 13배 이상 증가했다. 하지만 유사수신 사기 몰수·추징 보전금은 올해 5508억원에 불과해 많은 피해자가 보전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binn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