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정은, 집권 후 국제인식 의식해 처형집행 보안 신경써"
전환기워킹그룹, 탈북민 600여명 인터뷰 분석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집권한 2011년 이후 북중 국경에서 처형 집행과 관련해 보안에 각별히 신경을 쓰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제사회에서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경계를 높이자 이에 대한 비난을 막기 위한 시도들이 있었다는 지적이다.

[전환기워킹그룹 제공]

북한 인권데이터 수집 단체인 전환기워킹그룹(TJWG)은 15일 지난 2011년 이후 6년새 600여 명의 탈북민을 인터뷰한 결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집권한 이후 처형집행 건수는 증가했으나 일반 주민들에게 노출하는 건수는 줄어들었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이날 공개된 '김정은 시기의 처형 매핑: 국제적 압력에 대한 북한의 반응' 보고서에 따르면 김정은 정권은 처형과 관련한 증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감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JWG는 탈북민 683명을 인터뷰해 이와 관련한 442건의 진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TJWG는 김 위원장이 집권한 이후 북한의 처형방식과 장소의 변화 양상을 심층 분석했다. 특히 북중 교역의 주요 거점으로 꼽히는 북한 혜산시를 김정은 집권의 처형 방식과 처형 장소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 포인트로 보고 분석을 시도했다.

[전환기워킹그룹 제공]

그 결과, 김 위원장은 혜산비행장 주변을 포함한 6개 구역에서 처형을 집행했으나 점진적으로 국경에서 먼 곳에서 처형을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TJWG 측은 "북한 밖으로 처형 실태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북한 당국이 전략적으로 처형장소를 선택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처형된 사유는 27건 중 7건이 남한 영상을 시청했다는 이유로 이뤄졌다. 마약혐의와 성매매 혐의가 뒤를 이어 5건, 인신매매 혐의가 4건, 살인 및 살인 미수 혐의가 3건, 음란행위 혐의가 3건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TJWG 측은 "탈북을 도운 사람에게 인신매매 혐의가 적용되는 등 (처형자에게 적용된) 다른 혐의들도 완전히 조작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