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화이자 두번 맞아봤자…오미크론 예방효과 32분의 1”
홍콩 연구진, “중증·사망 예방엔 백신이 최선책”
이스라엘 연구진, “부스터샷 접종시 중화능력 100배 증가”
[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김유진 기자] 화이자 백신을 두 차례 접종해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인 오미크론의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는 32분의 1 이하로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홍콩 공영방송 RTHK는 12일(현지시간) 홍콩대와 홍콩중문대 연구진의 연구결과를 이같이 보도했다. 연구진이 한 달 전 화이자 백신 접종을 완료한 10명의 혈액을 채취해 실험한 결과, 화이자는 기존 SARS-CoV-2 바이러스 대비 오미크론 변이를 죽일 때 효과가 32분의 1 이하로 떨어졌다.

실험시점인 백신 접종 완료 후 1달은 항체가 가장 많은 시기다. 해당 실험에 사용된 오미크론 변이는 앞서 홍콩대 연구진이 환자의 검체에서 분리에 성공한 것이다.

연구진은 시노백 백신에 대해서도 같은 실험을 진행하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연구진은 시노백 백신의 항체 형성 수준은 화이자 백신에 비해 저조했던만큼,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서도 더 강력한 감염예방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중증질환이나 사망을 예방하는 데는 백신접종이 여전히 최선의 방안이라는 입장도 견지했다.

이스라엘과 남아프리카공화국 연구진도 역시 홍콩 연구진과 같은 연구 결과를 앞서 내놨다. 기존 백신은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 예방효과가 크게 떨어진다는 내용이다. 단, 부스터샷의 경우 눈에 띄는 효력을 보였다는 연구결과도 함께 발표했다.

지난 11일(이하 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셰바 메디컬센터와 보건부 산하 중앙 바이러스연구소는 화이자 백신에 대한 실험실 연구를 통해 부스터샷 접종시 중화 능력이 100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델타 변이에 대한 효과 보다는 4배 낮지만 상당한 예방 효과를 보인다는 평가다.

kace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