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육류 못지않은 탄소배출 주범...지목된 이 음식은 바로 ○○○○ [푸드 플러스]
학술지 ‘랜식’, 초가공식품 유해성 보도
인류 건강·기후위기 대응 악영향 미쳐
초가공·과대포장·잦은 섭취는 피해야

지난 수십 년 간 소비가 증가해 온 가공식품은 주로 개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로 연구가 진행돼왔다. 반면 지구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발표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붉은 고기에 이어 가공식품이 또 하나의 환경오염 주범으로 지목된 것이다.

학술지 랜식(The Lancet) 최근호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지난 30년 동안(1987년~2018년) 브라질에서 소비된 ‘초가공식품(Ultra-processed food)’의 환경지수(탄소발자국, 물발자국, 생태발자국)를 계산한 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초가공식품 소비가 증가하면서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수준도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초가공식품은 인류의 건강 뿐 아니라 지구환경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다. 그 중에서도 소시지, 햄 등의 가공육 환경지수가 가장 높았다. 가공식품은 인공과정에 따라 단계를 나눌 수 있는데, 샐러드 봉지와 같은 ‘최소 가공식품’ 부터 가장 가공과정을 많이 거치는 ‘초가공식품’까지 있다. 가공육과 즉석식품, 과자류, 설탕이 들어간 청량음료 등이 초가공식품에 해당한다.

연구에 참가한 히메나 슈미트(Ximena Schmidt) 런던 브루넬대학교 박사는 “초가공식품의 소비가 증가할수록 어떻게 온실가스 배출량이 높아지고, 얼마나 더 많은 물과 토지가 소비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연구진인 크리스찬 레이놀즈 (Christian Reynolds) 런던 식품정책센터 박사는 “초가공식품 섭취로 인한 각종 질병과 다이어트 문제, 그리고 기후위기는 동일한 원인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는 식단을 통해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이와 비슷한 연구결과가 과학저널 미국화학회지에도 최근 발표된 바 있다. 미국 퍼듀대학교 연구팀에 따르면 정크푸드 섭취량을 평소보다 줄인다면 탄소발자국(제품 생산 및 서비스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 29%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가정 내 5만 7000여 개의 식료품 구매 기록과 식품의 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집계한 결과이다. 연구팀은 “정크푸드를 덜 먹는다면 매일 먹는 밥상을 변경하는 것보다 탄소배출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박민혜 WWF(세계자연기금) 시장변화 분야 팀장은 “천연재료를 그대로 요리해 먹는 것보다 가공식품의 탄소배출량이 많은 이유는 생산과 유통 및 소비 과정에서 에너지소비가 많기 때문”이라며 “가공식품의 포장재는 매립이나 소각과정에서도 탄소배출을 증가시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복잡한 가공과정을 거치면 영양소 손실 등 건강 문제도 발생하므로 환경과 건강을 위해서는 가공식품 섭취를 줄여야 한다”고 권고했다.

한편 지난 9월 국제학술지 네이처푸드(Nature Food)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현재의 식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총 온실가스 배출량의 35%를 차지한다. 육성연 기자

gorgeou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