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호주 “베이징올림픽 외교보이콧 동참” 공식 선언…일본도 사실상 보이콧 (종합)
濠, 美·뉴질랜드 이어 세 번째
日, 각료보다 격 낮은 대표 파견
스콧 모리슨〈사진〉 호주 총리가 8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2022 베이징(北京) 동계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공식 선언했다. [EPA]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미국이 중국의 인권 탄압을 문제 삼아 2022 베이징(北京) 동계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는 것)’을 선언한 가운데, 호주도 보이콧 행렬에 공식적으로 동참했다.

일본도 각료 파견을 보류하는 방향을 검토하며 사실상 보이콧에 동참하는 모양새다.

8일(현지시간) AFP·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기자들과 만나 “중국 정부가 그동안 호주를 비롯한 전 세계가 제기한 신장(新疆) 지역의 인권유린 의혹 등 여러 문제에 대해 아직 제대로된 대응책을 내놓고 있지 않다”며 “호주 정부 관계자들이 베이징 올림픽에 참가하지 않겠다는 결정은 더이상 놀라운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공식 결정한 국가는 미국과 뉴질랜드에 이어 호주가 세 번째다.

앞서 지난 6일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바이든 정부는 신장에서 중국의 지속적인 종족 학살과 반인도적 범죄, 기타 인권 유린을 감안해 어떤 외교적, 공식적 대표단도 베이징 올림픽과 패럴림픽에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튿날인 7일엔 그랜트 로버트슨 뉴질랜드 부총리가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 선언과 관련해 뉴질랜드의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우리는 이미 장관금 대표단이 (베이징 올림픽에) 참석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고 답변했다.

미국에 이어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뉴질랜드와 호주는 영국, 캐나다와 함께 5개국 정보동맹인 ‘파이브 아이즈(Five Eyes)’의 일원이다.

지난 7일(현지시간) 한 중국 시민이 베이징(北京) 시내에 설치된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관련 조형물 앞을 걸어가고 있다. [로이터]

이에 따라 국제사회의 관심은 영국과 캐나다 등이 외교적 보이콧에 공식적으로 동참하느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캐나다 외무부는 미국의 보이콧 선언 후 성명을 통해 “우리는 미국의 결정을 통보 받았고, 이 문제를 우리의 동맹국, 파트너 국가들과 계속 논의할 것”이란 입장을 밝혔다. 백악관의 결정 직후 영국 정치권 일각에서도 “이제 영국 정부도 입장을 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같은 날 일본 산케이(産經)신문은 베이징올림픽 때 문무과학성 산하 스포츠청 무로후시 고지(室伏広治) 장관이나 일본올림픽위원회(JOC) 야마시타 야스히로(山下泰裕) 회장을 보내는 방안이 일본 정부 내에서 대안으로 검토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과 보조를 맞추도록 명실상부한 정부 대표인 각료보다 격이 낮은 무로후시나 야마시타를 보낸다는 구상이 논의된다는 것이다.

도쿄(東京)신문은 일본 정부 내에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미국을 배려해야 한다는 인식이 공유되고 있으며 각료를 파견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의견이 대세라고 전했다.

이 밖에도 유럽 국가 등 미국의 동맹국들이 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동참을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올라프 숄츠 독일 차기 총리 내정자는 7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미국과의 긴밀한 관계를 강조하면서도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동참 여부에 대해선 즉답을 피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