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중 갈등 상징 된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美 주재 9~10일 ‘민주주의 정상회의’서 동맹 전선 확대될 듯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의 종전선언 제안 한국 곤혹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로고. [로이터연합]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두달 앞으로 다가 온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이 미국과 중국간의 극심한 갈등을 보여주는 상징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이 6일(현지시간) 베이징동계올림픽에 정부 사절단을 보내지 않는 ‘외교적 보이콧’을 공식화하면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오는 9∼10일 약 110개국을 초청해 여는 ‘민주주의 정상회의’ 개최를 앞두고 있어, 유럽 등 서방국가들의 ‘외교적 보이콧’ 동참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워싱턴포스트는 이번 외교적 보이콧 결정에 대해 미국의 최대 군사·경제적 경쟁자인 중국에 대한 심대한 정치적 모욕이라고 평가했다.

백악관은 외교적 보이콧을 결정한 배경으로 중국의 인권 탄압 문제를 들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중국 신장 지역에서 중국의 악랄한 인권 탄압과 잔혹행위에 직면한 상황에서 올림픽 문제를 놓고 평상시처럼 행동할 수는 없다며 미국이 베이징 올림픽에 기여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 의회에선 신장 문제는 물론 홍콩 인권 문제를 거론하며 베이징동계올림픽에 특단의 조처를 해야한다고 여야 모두 한 목소리를 내 왔다.

하지만 인권 문제 이면에는 중국을 견제하려는 미국의 대중 강공 기조가 자리 잡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경제, 안보, 기술, 대만, 남중국해 등 전방위로 충돌하는 와중에 미국은 전통적 동맹 복원과 세 확산을 통해 대중 포위전선을 구축하는 데 큰 공을 들이고 있다. 한국도 참석하는 '민주주의 정상회의'가 대표적이다. 바이든 대통령이 권위주의 정권으로 규정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역점을 두어 추진해온 대형 행사다.

미국에 이어 영국, 캐나다, 호주가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이들 국가는 사절단 불참을 검토 중이라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1980년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이 냉전 중이던 소련의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에 사절단은 물론 선수단까지 보내지 않기로 결정했을 때 60개국 이상이 동조했던 전례가 회자된다.

미국 내에선 동맹국들에 동참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민주당 소속 밥 메넨데스 상원 외교위원장은 가치를 공유하는 동맹과 파트너들이 미국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지난달 한 언론 인터뷰에서 올림픽 참가 문제를 놓고 동맹과 논의가 진행 중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사키 대변인은 외교적 보이콧이 공식 발표되기 전에 중국에 전달됐고 해외의 동맹에도 이 결정을 알려왔다면서 동맹이 보이콧에 동참할지는 개별 국가에 달린 문제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주미 중국 대사관은 “가식적인 행위”로 규정하며, “정치적 조작일 뿐이고 올림픽 헌장의 정신에 대한 심각한 왜곡일 뿐이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현재 외국 정상 중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베이징 올림픽 참석을 유일하게 밝힌 상태라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미국의 결정은 베이징 올림픽을 한국전 종전선언을 모색할 기회로 활용하려는 한국 정부의 계획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월 유엔총회에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의 종전선언을 제안한 이후 베이징 올림픽은 종전선언을 비롯한 한반도 '평화 이벤트'의 유력 무대로 거론돼 왔다.

그러나 가뜩이나 전염병 대유행에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국가 자격 참가 불허 통보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중이 힘든 상황에서 미국마저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함에 따라 이런 기대는 더 멀어진 듯한 분위기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