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이번주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선언 예상
CNN, 내부 소식통 인용해 보도…공식 입장 안 나와
美 외교적 보이콧 시 ‘연쇄 외교 보이콧’ 가능성 있어
내년 2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이 열리는 곳 중 하나인 서우강(首鋼) 스키점프대의 전경. [AFP]

[헤럴드경제=유혜정 기자] 미국이 내년 2월 중국에서 열리는 베이징(北京)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방침을 이번 주 공식 발표한다.

6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은 복수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외교적 보이콧이란 올림픽 개·폐회식에 정부나 정치권 인사 등으로 구성된 공식 사절단을 보내지 않는 것을 말한다.

외교적 보이콧을 내부적으로 논의해온 미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이에 대한 답변을 거부했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18일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해 관련 논의를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이는 같은 달 15일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첫 정상회담을 한 지 사흘 만에 나온 발언이었다.

당시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검토는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에서의 인권 관행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밝혔다.

외교적 보이콧 문제는 단순히 문화·체육 행사에 정부 관리를 파견하느냐를 넘어 양국이 중시하는 가치와 주권 문제가 얽힌 복잡한 이슈이기 때문에 이번 사안에 대한 두 나라의 대응은 정상회담 이후 양국관계의 변화 여부를 알려 줄 풍향계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이어졌다.

서방국의 리더 격인 미국이 외교 보이콧을 결정할 경우 이는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서방 진영의 지침이 될 수 있어 연쇄 외교 보이콧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거론됐다.

실제로 호주·영국이 베이징 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지난달 29일 중국 외교부는 올림픽 참석 여부를 이른 바 인권 문제와 연계하는 것은 스포츠를 정치화하는 것이라고 비판하며 “베이징 동계 올림픽은 정치쇼와 정치 농간의 무대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미소 냉전 시절이던 1980년 구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이유로 모스크바 올림픽을 완전히 보이콧해 선수단을 출전시키지 않은 전례가 있다.

당시 서독, 일본 등 서방 국가 60여 곳이 이에 동조해 모스크바 올림픽에 불참했다.

yooh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