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4% 코앞까지 간 물가상승률, 인플레 대책 마련해야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7%를 기록했다. 10월(3.2%)에 이어 두 달째 3%대다. 이젠 4% 물가도 코앞이다. 근 10년 만에 처음인 일들이다.

10월엔 그나마 신선식품물가라도 내렸지만 11월엔 하나 빠짐없이 모든 게 올랐다. 물가의 핵폭탄이 돼버린 석유류는 유류세 인하에도 35.5%나 올랐고, 축산물도 상승률이 15%나 된다. 돼지고기(14%), 수입쇠고기(24.6%), 달걀(32.7%), 오이(99%) 등 가격표 보기가 무서운 상품들이 부지기수다. 그래서 식품을 중심으로 한 생활물가지수의 상승폭이 5.2%에 달한다. 전·월세를 포함한 집세 상승률도 1.9%나 된다.

지금의 물가 고공 행진은 당분간 멈출 것 같지도 않다. 워낙 상승 압력이 다중적이다. 특히 원유 등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은 1년 전보다 30~50% 오른 상태다. 그만큼 내려야 원상회복인데 오히려 더 오를 기세다. 전 세계적인 급진적 화석에너지 탈출 전략으로 인해 유가 완충지대였던 셰일 석유가 전혀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 국제 유가가 생산 원가 이상으로 상승했음에도 셰일업체들은 원유 생산 재개 대신 사업 청산에 나서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를 비롯한 전문기관들은 내년 유가를 배럴당 120달러로 전망할 정도다.

상황이 이쯤 되니 에너지난을 겪는 중국이 세계의 공장 역할을 제대로 할 수가 없다. 현재진행형인 중간재 공급 난항은 미래에도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의 출현은 다시 원자재 현장의 문을 닫아버릴 수도 있다.

하지만 물가상승의 가장 큰 문제는 금리에 미치는 영향이다. 이미 지난달 0%대 금리시대를 마감시킨 한국은행의 ‘인플레 파이팅’ 의지는 더 굳어진다. 안 그래도 지금의 금리인상 기조를 ‘긴축으로의 전환’이 아닌 ‘정상화 과정’이라고 강조하는 금통위다.

여기에다 미 연준의 파월 의장은 “인플레가 일시적이라는 표현을 앞으로는 쓰지 않겠다”면서 본인이 틀렸음을 인정했다. 당연히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일정이 앞당겨질 테고 한국에는 금리인상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내년 초 기준금리 추가 인상은 거의 기정사실이다.

결국 물가상승의 피해는 서민 취약계층에 더 크게 나타난다. 가만히 앉아서 소득이 줄어드는 결과가 된다. 재난지원금 줘봐야 물가상승으로 효과가 상쇄돼버릴 판이다. 게다가 이자 부담도 늘어난다. 서민에겐 인플레가 코로나보다 더 지옥인 셈이다. 정부가 더 적극적인 물가관리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시장 철저 점검 정도로 될 일이 아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