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은보 “생보사, 일본 반면교사 삼아야” 리스크 관리 강조
생보사 CEO와 취임 후 첫 간담회
단기 실적 치중보다 ALM 강화
판매~보험금 지급, 소비자 보호 당부
[사진=정은보 금감원장][연합]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이 25일 생명보험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나 리스크 관리와 소비자 보호를 당부했다.

정 원장은 이날 정희수 생명보험협회장 및 8개 생명보험사 CEO들과 취임 후 첫 간담회를 가졌다.

정 원장은 이 자리에서 “국내 보험업계는 수입보험료 기준 세계 7위 규모로 성장했지만 금리 역마진 구조로 인한 자산운용 애로, 빅테크 등 새로운 플레이어와의 경쟁이슈 등 쉽지 않은 영업환경에 직면해 있다”라며 “1990년대 일본 자산 거품 붕괴 이후 7개 생보사의 연이은 파산을 반면교사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당시 생존한 보험사는 단기 실적에만 치중하지 않고 자산부채종합관리(ALM)을 강화하는 등 리스크를 관리했다는 것이다.

정 원장은 그러면서 “시스템리스크가 우려되는 보험회사는 잠재리스크를 예방하기 위한 사전적 검사를 실시하고, 리스크 우려가 낮은 보험회사는 내부감사협의제도 내실화 등 자율적인 내부통제 강화를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내부감사협의제는 내부감사협의체를 통해 검사결과 반복 지적사항, 내부통제 모범사례 등을 공유함으로써 회사별 자체점검 및 자율시정을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정 원장은 CEO들에게 “선제적으로 자본을 확충하고, 대체투자 모범규준을 내재화하는 등 리스크 관리 역량을 강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 원장은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도 상품개발, 보험모집, 보험금 지급으로 이어지는 전(全) 프로세스에 걸쳐 피해를 사전 예방하는 데 주안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그는 “보험상품 개발 단계에서는 보험회사 자체 상품위원회의 역할과 실효성을 제고하고, 보험모집 단계에서는 소비자 보호 취약요인을 사전에 포착하여 개선하겠다”며 “보험금 지급이 공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손해사정 및 의료자문 관련 제도개선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또 보험업 보호 및 육성을 위해서는 “빅테크의 보험업 진출에 대응해 ‘동일기능-동일규제’ 원칙 하에 소비자 피해 및 공정경쟁 저해 우려가 없도록 시의성 있고 균형 잡힌 규율체계를 확립하겠다”고 했으며 “자산운용 및 헬스케어 활성화 등을 위해 보험회사의 자회사 소유와 부수업무 영위를 폭넓게 허용하고, 화상통화나 챗봇과 같은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보험모집이 가능하도록 관련 규제를 선진화하겠다”고 말했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