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탄소중립 대응’ 국제 기술협력 공공연구기관 협의체 출범
반도체·전자·자동차 등 6개 업종별 공공연 중심으로 기업지원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기업들의 탄소중립 대응을 돕기 위한 공공연구기관 협의체가 출범했다. 협의체는 해외 우수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크를 보유한 공공연구소를 중심으로 기업들의 해외기술 도입, 국제 공동연구 등 개방형 혁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서울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글로벌 기술협력 협의체' 출범식을 열었다.

협의체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전자·전기, 자동차·운송, 기계·조선, 석유화학, 뿌리·철강 등 탄소 다(多) 배출 6개 업종별 공공연구소로 구성되며 기업의 접근성 등을 고려해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총괄지원단을 맡는다.

또 각 기관의 고유영역에서 글로벌 세미나를 주도해 국내기업에 해외기관과의 저탄소 기술협력 기회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 국내기업의 협력수요에 맞춰 해외 기술협력 파트너를 발굴하는 등 실질적인 연구개발(R&D) 협력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융·복합 국제 기술협력 공동기획, 기관별 우수 지원성과 및 운영 노하우 공유 등 기관 간 협업체계도 강화한다.

이날 출범식과 함께 열린 간담회에서는 기관별로 해외 기술도입·협력 후보군, 국제 공동 R&D 기획 방향 등 향후 국제협력 지원계획을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전자기술연구원(KETI)은 온실가스 저감 반도체 소재·공정과 화합물 반도체 등 분야에서의 해외 협력 추진사례를 소개하고, 그린칩(저전력 고효율 칩) 제조를 위한 미국 일리노이대학과의 공동 R&D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화학연구원(KRICT)은 캐나다 캘거리대학, 미국 노스웨스턴대학 등 탄소중립 주요 협력 후보군을 제시하고 내년에 화학기술 연계 탄소중립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산업부는 향후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인프라·인력 등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탄소중립 기술개발을 밀착 지원하는 '탄소중립 기술혁신 지원단'을 운영할 방침이다.

박진규 산업부 제1차관은 "탄소중립 기술개발과 관련해선 글로벌 차원에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전략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각 기관이 역량과 사업을 집중해 민간 중심의 글로벌 협력을 적극 지원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