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 “일상회복 뒷걸음질 안칠 것” 공언했지만 20여일 만에 위기
방역당국 위중증자 증가 예측 실패 인정
“일상회복 중단 여부 등에 대한 논의 시작”
문재인 대통령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정부가 단계적 일상회복이 장정중단을 놓고 고민에 들어갔다. “단계적 일상회복을 뒷걸음질 치지 않겠다”던 문 대통령의 공언이 결국 한 달도 안 돼 지켜지지 못할 위기에 처했다.

정부는 이달 1일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했다. 모임인원, 영업시간 제한 등 기존의 봉쇄조치를 사실상 전면 해제한 조치였다. 동선 추적등 확진자 관리보다 사망자와 위중증 환자 관리에 초점을 맞췄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9일 국무회의에서 “일상회복을 시작했다가 다시 어려움을 겪는 나라가 많다”며 “우리는 뒷걸음질 치는 일 없이 완전한 일상회복으로 나아가도록 상황 관리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단계적 일상회복 후 나온 문 대통령의 첫 메시지다.

하지만 단계적 일상회복이 시작된지 20일만에 문 대통령은 위중증자 증가에 우려를 표했다. 문 대통령은 “의료체계가 감당 못할 만큼 늘어나게 된다면, 그때는 부득이 비상조치 취하거나, 일상회복 단계 더 나아가는 부분을 잠시 멈추거나, 거리두기 강화하거나 이런 부분이 없으란 법은 없다”고 말했다. 다만 국민과의 대화에서도 문 대통령 “5000명 또는 1만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대비를 했다”며 “확진자가 증가한다 해서 일상회복을 중단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단계적 일상회복 전 2000명 대였던 확진자수는 20여일만에 4000명을 육박할 정도로 늘어났다. 하지만 위증자 수는 확진자 수 증가폭을 넘어섰다.

정부는 “위중증환자 수요가 예측보다 빨리 늘고 있다“며 예측 실패를 인정했다. 손 반장은 지난 22일 “현재 유행 규모는 일일 약 3000명 수준으로, 당초 정부는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행하며 확진자 5000명까지는 감당이 가능하다고 보고 병상을 늘리고 있는데, 실제 전개되는 양상을 보면 예측보다 위중증 환자 증가와 그에 따른 병상 수요가 빨리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전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현재 비상계획 조치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지는 않다"면서도 "엄중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으며 호전이 없다면 방역조치를 강화하거나 비상계획 검토까지 갈 수도 있음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단계적 일상회복 잠정중단 검토와 관련 “비상 상황이라고 보고 현재 논의가 시작됐다”며 “실제 중단 여부나, 시기, 구체적 방법 등은 앞으로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