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사설]민영화 완결한 우리금융, 대주주 없는 경영의 모범되길

금융위원회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지난 18일 실시된 우리금융지주 잔여 지분 매각 입찰의 최종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총 매각물량 9.3%를 유진프라이빗에쿼티(유진PE) 등 5개 사업자가 1~4%씩 나눠 인수키로 했다. 이로써 정부(예금보험공사)의 지분은 15.13%에서 5.8%로 낮아져 대주주에서 주요 주주 중 한 곳으로 지위가 달라졌고 우리금융의 민영화는 완결됐다. 지난 1998년 공적 자금이 투입된 지 23년, 5번의 무산 끝에 거둔 성과다.

우리금융의 완전 민영화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의미가 작지 않다. 우선 투입된 공적 자금을 모두 회수하는, 드문 성공사례를 만들었다. 정부는 이번 매각까지 포함해 우리금융에 투입된 공적 자금 12조7663억원 중 12조3360억원을 회수했다. 원금의 96.6%다. 남은 지분까지 팔면 완전 회수지만 민영화라는 부담의 족쇄가 없어진 만큼 수익성을 봐가며 일정을 조절할 것으로 보인다. 공적 자금은 부실한 회사를 살리려고 넣는 돈이다. 공공의 목적 때문에 불가피하게 투입된다. 당연히 제대로 돌려받기 어렵다. 아직도 수조원씩 물린 대우조선, 대우건설 등의 사례를 보면 금방 안다.

우리금융의 민영화는 과점주주 경영이라는 금융사 지배구조의 새로운 사례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남다르다. 이제 우리금융의 최대주주는 우리사주조합(9.80%)이고 국민연금(9.42%), 예금보험공사(5.8%) 등의 순이다. 모두 특수성을 가진 주주들이어서 일반적인 대주주와는 다르다. 이 때문에 사외이사 추천권 등을 통해 실제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건 IMM PE(5.57%), 유진PE(4%), 한국투자증권(3.77%), 키움증권(3.73%), 한화생명(3.16%) 등 과점주주들이다.

과점은 장점인 동시에 단점이다. 주인이 생겨 관치의 풍파에선 벗어났지만 고만고만한 주주들이 제 목소리만 내다 보면 경영은 중구난방 산으로 갈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금융은 전문경영인 체제로 지난 수년간 잡음 없이 좋은 성과를 만들었고 민영화까지 완결했다.

이제 중요한 것은 기업가치를 높이는 일이다. 금융그룹이라지만 우리금융의 계열사 구조는 부실하다. 지난 2013년부터 증권, 지방은행 등 자회사를 매각했기 때문이다. 공적 자금 회수와 조기 민영화를 위해 몸집 줄이기가 불가피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은행·증권·보험의 안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과 시너지 극대화는 오늘날 금융지주 발전의 필수다.

‘너와 나’도 아닌 그야말로 ‘우리’인 지배구조로 이름에 부합하는 종합금융그룹을 완성하고 발전하길 기대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