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한구 본부장 “기술패권 경쟁속 亞정책공조 강화 필요”
‘무역안보 국제컨퍼런스’ 참석
통상·기술·안보 파트너십 제안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7일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아시아 각국의 통상·기술·안보가 연계된 정책 파트너십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여 본부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21 무역안보 국제 컨퍼런스’에서 이같이 아시아 국가의 무역안보 정책 공조를 제안했다.

이날 행사는 ‘아시아 국가의 무역안보 추진현황 및 도전과제’를 주제로 진행된 가운데 필립 그리피스 바세나르 사무총장, 새라 로버츠 호주그룹(AG) 의장, 아시아 주요국 (싱가포르·말레이시아·필리핀·베트남) 정부, 싱크탱크, 기업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여 본부장은 이 자리에서 ▷글로벌 협력 강화 ▷첨단기술 보호 공조 ▷기업 지원 강화 등 3가지를 정책 공조 방향으로 제시했다. 이어 “수출통제체제는 글로벌 교역의 안정적 확대를 위한 안정장치”라며 “한국은 수출통제 선도국으로 ‘바세나르 체제(WA)’, ‘핵공급그룹(NSG)’, ‘호주그룹(AG)’,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 등 4대 국제수출통제체제의 규범 형성과 아시아 수출통제 협력 강화 논의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에서 우리나라와 일본만이 수출 통제 관련 4대 조약 및 4대 체제에 모두 가입해있다.

또 “기술안보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반도체·이차전지 등 우리 산업이 강점을 가진 분야의 핵심 기술 보호 제도를 강화하고 유사한 입장에 있는 국가들과 공조를 확대하겠다”면서 “수출통제·투자심사·기술보호의 유기적 운영을 통해 기업의 수용성을 제고하는 등 기업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필립 그리피스 WA 사무총장과 새라 로버츠 AG 의장 등 국제 수출통제체제 핵심 인사도 축사를 통해 국제 수출통제 규범 준수와 함께 국가 간의 협력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선 ‘국제 수출통제체제 동향 및 대 아시아 정책 제언’, ‘아시아 국가의 무역안보 추진 현황’, ‘기업의 수출통제 이행 노력’ 등을 주제로 한 전문가 주제 발표도 진행됐다.

산업부는 “무역안보 분야 국제 콘퍼런스를 연례적으로 개최해 국제 수출통제 규범과 주요국 정책 동향 등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토대로 무역안보 및 기술통상 전략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배문숙 기자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