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그래도 현금'…가상자산열풍에도 글로벌 현금유통 2배 이상 증가
[게티이미지]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지급결제의 디지털화, 비트코인 등 가산자산의 제도권 편입에 따라 지구상 현금 사용이 사라질 거란 관측이 제기된 바 있지만 코로나19 이후 결과는 전혀 달랐다. 재화·서비스 거래를 위한 교환매개수단으로서의 입지는 과거보다 축소된게 사실이지만, 가치저장수단으로서의 위상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인플레이션에 따른 화폐가치 훼손 우려에도 현금 유통량은 이번 위기 전보다 두배 이상 증가했는데, 코로나19가 현금이 현존하는 최고 안전 축재(蓄財) 수단이란 인식을 강화시켰단 분석이 나온다.

미국의 싱크탱크인 경제정책연구소(CEPR, 조나단 애쉬워스·찰스 굿하트)가 최근 발표한 논문 ‘거대한 코로나 현금 증가-디지털화는 현금의 안전 피난처 역할을 약화시키지 않았다(The Great Covid Cash Surge – Digitalisation Hasn't Dented Cash's Safe Haven Role)’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68개국(경제협력개발기구 소속 34개국, 여타 신흥국 34개국)의 현금유통규모는 전년대비 평균 16.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68개 나라는 전세계 국내총생산(GDP·구매력평가기준)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19년에는 2018년보다 6.5% 상승했는데, 작년엔 증가율이 이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이는 2010~2014년(11.2%)과 2015~2019년(8.3%)의 평균 증가율도 모두 상회하는 수준이다. 작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평균 증가율은 13.8%로 2019년 증가율(5.3%)을 크게 상회했고, 브릭스(BRICS,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는 20.0%로 전년 증가율(5.6%)보다 네배 가까이 확대됐다.

나라별로 보면 미국(15.2%), 독일(10.6%), 일본(4.8%), 영국(9.1%), 중국(9.2%)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장기(직전5년)평균 대비 2~3배 증가했다. 이는 과거 대공황이나 전쟁 시기보단 낮지만, 2008년이나 2000년 Y2K 사태 당시 대비해선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증가율은 18.9%로 전년 증가율(10.1%)과 큰 격차를 나타냈으며, 2015~2019년 평균 증가율(12.3%)도 웃도는 등 현금 유통이 그 어느 나라 못지 않게 활발히 이뤄졌다.

CERP은 고액권 중심의 비축 행렬이 현금유통량 급증의 배경이 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미 달러의 경우 현금 수요의 절반 가량이 해외에서 발생됐다. 과거 ‘달러라이제이션(Dollarization·달러가 자국통화를 대체하는 현상)’을 경험한 나라들을 중심으로 자국 통화가치 하락에 대한 헤지(위험회피)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