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10월 제조업 취업자, 2013년來 최저
1년전보다 1만명 이상 줄어…30∼50대 12.4만명 감소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보다 1만명이상 줄면서 2013년 산업 분류 개편 이후 10월 기준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1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1만3000명 감소한 432만4000명이었다.

이는 2013년 산업 분류 개편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달 전체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65만2000명 증가하고 실업자는 24만1명000 감소하는 등 전체 고용이 회복세를 보였던 것과 대조적이다.

연령별 제조업 취업자 수를 1년 전과 비교해보면 30대(-7만7000명), 40대(-2만5000명), 50대(-2만2000명)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일자리의 허리로 볼 수 있는 30∼50대에서 12만4000명이 줄어든 것이다. 반면 10대(4000명), 20대(6만6000명), 60대 이상(4만1000명) 제조업 취업자는 늘었다.

올해 10월 기준 제조업 취업자의 연령별 비중은 40대가 27.0%로 가장 높았다. 50대(24.6%), 30대(23.7%), 20대(13.4%), 60대 이상(10.8%), 10대(0.4%)가 그 뒤를 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자동차 관련 감소 폭이 워낙 커 제조업 취업자 감소세가 유지되고 있지만 감소 폭은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취업자 감소세는 8월 -7만6000명, 9월 -3만7000명, 10월 -1만3000명 등 둔화하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 수가 단기간에 회복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발표한 '2021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글로벌 공급망 교란 영향이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진다고 예상했다. 전기차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자동차 산업의 일자리도 우려되고 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부품 수가 훨씬 적어 관련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