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입물가 13년來 최대상승...인플레 쓰나미
10월 130.4...전년비 35.8% 높아

시차를 두고 국내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수입물가 상승률이 13년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 지속에 따른 것이다. 이같이 공급요인이 주도하는 인플레이션 압력은 국내 정책수단으론 사실상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금리 인상기에 진입하면서 이자부담이 급증하고 있는 서민들로선 물가 부담까지 이중으로 떠안게 됐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10월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15년 수준 100)는 130.43으로 9월(124.40)보다 4.8% 상승했다. 전월 대비 기준으로 5월 이후 6개월째 올랐고, 지수 절대 수준(130.43)은 2013년 2월(130.83) 이후 8년 8개월만의 최고 기록이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35.8%나 높은데, 이 상승 폭은 2008년 10월(47.1%) 다음으로 13년 만에 가장 컸다. ▶관련기사 10면

전월 대비 상승률을 품목별로 보면 원재료 중 광산품(11.1%), 중간재 가운데 석탄 및 석유제품(10.8%)의 상승률이 특히 높았다. 10월 국제 유가가 두바이유 기준으로 한 달 새 12.4%(배럴당 72.63달러→81.61달러) 오른 영향이다.

최진만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장은 수입물가 상승 배경에 대해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이 컸고, 원자재 가격도 올랐다”고 설명했다.

10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9월(114.38)보다 1.6% 높은 116.18로 집계됐다. 작년 11월(0.6%) 이후 11개월째 상승세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5.3% 뛰었다. 9월과 비교해 석탄 및 석유제품(12.3%), 화학제품(2.2%), 1차금속제품(1.9%) 등이 올랐지만, 컴퓨터·전자·광학기기는 2.2% 떨어졌다. 서경원 기자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