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글로벌 탄소중립 달성, 개도국 친환경차 보급이 관건”
한국자동차연구원 산업동향 보고서, 가격ㆍ인프라 등 문제 직면
중고 친환경차 수출 등 맞춤형 전략 필요…연구ㆍ개발 지원해야
글로벌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도국의 찬환경차 보급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한 운전자가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는 모습. [123RF]

[헤럴드경제=정찬수기자] 글로벌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발도상국의 친환경차 보급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이 1일 발표한 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 보급된 1000만여 대의 전기차 중 94%가 미국과 유럽 7개국, 한국·중국·일본 등 주요 12개국 시장에서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나머지 국가의 전기차 판매량은 6%에 불과했다.

수송 분야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선진국은 약 10% 감소했지만, 신흥 시장과 개발도상국의 배출량은 4% 감소하는 데 그쳤다. 큰 틀에서는 오히려 증가세를 보였다.

앞서 국제청정교통위원회(ICCT)는 개발도상국들이 현재 정책을 유지할 경우 오는 2050년 ‘웰 투 휠(well to wheel·연료를 제조해 차량에 공급되기까지의 전 과정)’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작년 대비 0.5∼2.5배까지 증가하리라 전망했다.

이에 일부 개발도상국은 친환경차 보급 목표를 제시하고 각종 인센티브 등 수송 부문의 이산화탄소 감축에 나서고 있다.

실제 인도네시아는 2025년까지 전체 자동차 생산량의 20%를 전기·하이브리드차로 채운다는 목표를 세웠다. 태국은 2030년까지 생산하는 이·삼륜차와 경차, 버스의 30%를 전동화하고 전기차 세금을 면제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자동차연구원 자료]

내연기관차보다 비싼 가격과 충전 인프라 부족은 친환경차 보급의 걸림돌로 지적된다.

인도네시아는 지난해 전기차 충전소를 180곳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27곳을 만드는 데 그쳤다. 콜롬비아는 충전소 69곳 중 절반이 수도권과 주요 도시에 집중됐다.

한자연은 개발도상국에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중고차 수출 전략과 연계하는 등 현지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개발도상국의 국민 소득 수준을 고려하면 신차 중심의 친환경차 보급은 현재로서 어렵기 때문에 국내 중고 친환경차에 대한 품질과 안전성 인증을 강화해 개발도상국에 수출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지형 한자연 연구원은 “개발도상국은 친환경차 확산의 길목에서 높은 가격과 인프라 부족이라는 문제에 직면한 상태”라며 “이륜차와 삼륜차, 험지 주행용 차량, 대중교통의 수요가 많은 특성을 고려해 현지 여건에 맞는 신규 모델 수요를 파악하고, 관련 연구개발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