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은 “해외 위드코로나 분석해보니…대면서비스 소비회복에 효과”

[헤럴드경제]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 방역 정책을 시행한 나라에서 대면 서비스의 소비 회복 효과가 나타났다는 분석이 나왔다.

단계적 일상회복, 일명 '위드 코로나' 시행을 하루 앞둔 31일 오후 서울 강남역 인근 골목을 지나는 시민들의 모습. [연합뉴스]

31일 한국은행 미국유럽경제팀이 공개한 ‘주요 선진국 위드코로나 정책 추진 현황 및 경제적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영국·독일·아일랜드·호주·캐나다·멕시코 7개국의 패널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방역조치 강도(0~100)가 10포인트 낮아질 때 음식점·여가시설 방문자 수는 약 5% 증가했다. 같은 조건에서 식료품점 방문자는 약 1.5% 늘었다.

최근 국내의 방역강도 변화를 보면 지난 7월 12일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됐을 때 방역강도가 8.8포인트 정도 상승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위드 코로나 정책은 영국, 미국 등에서 코로나19에 대한 경제주체의 민감도를 떨어뜨렸다. 코로나19 민감도가 최대 수준에서 최소 수준으로 낮아지면 음식점·여가시설, 식료품점 방문자 수를 각 최대 4.5%, 2.5% 늘리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은은 “최근 백신 접종률이 70%를 웃돌면서 11월부터 ‘단계적 일상회복’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이는 주요국의 사례와 같이 대면 서비스의 경기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위드코로나 추진 시점의 백신접종률, 인구밀도 등이 우리나라와 유사한 싱가포르 사례처럼 방역완화 이후 확진자 수가 크게 증가할 경우 대면서비스 관련 이동성이 하락할 가능성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봤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