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일본 4천개 ‘싫어요’ 폭탄, 쯔양 테러” 유튜브 ‘싫어요’ 숫자 감춘다?
독도의날(10월 25일)을 맞아 독도새우 먹방을 진행한 유튜버 쯔양(오른쪽). 해당 영상은 일본 네티즌으로부터 집단적인 '싫어요'를 받았다. [쯔양 유튜브 채널 갈무리 ]
[쯔양 유튜브 채널 갈무리 ]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인기 유튜버 쯔양이 독도의 날(10월25일)을 기념해 울릉도에서 ‘먹방’을 진행하자, 일본 네티즌들이 몰려들었다. 쯔양이 콘텐츠서 “독도는 대한민국 영토입니다” 자막을 영어, 중국어, 일본어로 표기한 게 발단이 됐다. 이에 반감을 가진 일본 네티즌들이 해당 채널에 4천 300여개(30일 기준) 집단적인 ‘싫어요’ 세례에 나선 것. 양국 네티즌 간 공방이 이뤄지면서, 혐오 표출의 공간이 됐다.

혐오표현으로 악용된다는 지적을 받아온 유튜브 ‘싫어요’가 다시금 도마 위에 올랐다. 그간 유튜브 ‘싫어요 테러’로 일부 창작자가 정신적 고통을 호소한 가운데, 최근 먹방 유튜버 ‘쯔양’ 사례처럼 ‘싫어요’의 역기능이 부각되면서다. 쯔양 사례가 악의적 ‘싫어요’의 대표적인 부작용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유튜브는 지난 3월 말 ‘싫어요 숫자 표시’의 한계 인정하고 이를 감추는 실험에 돌입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유튜브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좋아요 및 싫어요 버튼’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을 실험하겠다고 밝혔다.

유튜브 측은 “공개되는 싫어요 수가 창작자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동영상에 대한 의도적인 싫어요 캠페인에(유튜브 싫어요 숫자가)동기 부여를 할 수 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유튜브는 지난 3월 30일, 유튜브 영상의 싫어요 숫자를 감추는 실험에 돌입한다고 밝혔다.[유튜브 트위터 계정 갈무리]

유튜브 ‘싫어요’는 이용자의 자유로운 의사표현이라는 순기능을 제공했다. 좋아요와 싫어요 숫자는 콘텐츠 경쟁을 부추겨 양질의 콘텐츠 생산에도 기여했다. SNS서 퍼지는 각종 가짜뉴스를 바로잡는 역할도 해왔다.

동시 어뷰징, 혐오캠페인, 좌표 찍기 등 부작용을 낳았다. 이용자들은 콘텐츠가 자신의 뜻과 다른 경우 싫어요를 의도적으로 늘리는 소위 ‘싫어요 테러’ 행위로 제작자를 압박했다. ‘좋아요’와 ‘싫어요’ 수치에 압박을 느껴 영상 콘텐츠 제작을 중단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가수 전효성이 여성가족부 유튜브 채널서 밝힌 데이트 폭력에 대한 소신 발언을 두고 집단적 '싫어요' 움직임이 일었다. [여성가족부 유튜브 채널 갈무리]

최근에는 가수 전효성이 여성가족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밝힌 데이트 폭력에 대한 소신 발언을 둘러싸고 집단적 싫어요 움직임이 일었다. 전씨는 “데이트 폭력을 관대하게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져야 한다”, “상담 받을 수 있는 실질적 해결방안들이 활발하게 이뤄지길 바란다” 등 소신 발언으로 응원을 받았지만 말미에 언급한 발언 문제가 됐다.

자신이 꿈꾸는 대한민국 미래상을 밝히면서 “어두워지면 집에 들어갈 때마다 항상 '내가 오늘도 안전하게 잘 살아서 들어갈 수 있을까?' 이런 생각을 하면서 들어간다”는 발언이 계기가 돼 이용자들 사이 집단적 혐오표출의 장이 된 것이다. 현재 좋아요(5천 500여개)못지 않게 싫어요(4천 300여개)가 쏟아지고 있다.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창작자도 꾸준했다. 미국 가수 레베카 블랙(Rebecca Black)은 13세 때 올린 유튜브 영상으로 오랜 시간 고통의 나날을 지냈다. 2011년 당시, 유튜브에 ‘firday’ 노래를 올린 뒤, ‘싫어요’ 테러에 시달린 탓이다. 좋아요(135만여개)와 싫어요(398만여개) 비율이 ‘1:3’에 달하면서 13세 소녀가 감당하기 어려운 조롱과 혐오의 대상이 됐다. 왕따로 이어지면서 학교에서 자퇴하기에 이르렀다.

유튜브 싫어요 테러를 당한 미국 가수 레베카 블랙.[유튜브 갈무리]

‘싫어요’ ‘좋아요’ 버튼에 대한 문제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전반서 공감대를 형성해왔다. 앞서 인스타그램은 2019년 5월 일부 국가 이용자에 한해 ‘좋아요’ 수를 보여주지 않는 기능을 시범 적용했다. 유튜브가 싫어요 감추기를 발표한 뒤, 6개월이 지난 지금도 싫어요 숫자가 노출되면서, 창작자를 향한 집단적 혐오도 반복되고 있는 실정. 반면 시청자 입장에서 부작용도 제기된다. 가령 싫어요 숫자를 통해 일부 혐오 영상이나 자극적인 콘텐츠에 대한 반대의사를 표현하는 등 자유로운 의사표현을 가로막는다는 우려다.

dingd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