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계 3위 탄소배출국 인도 “탄소중립, 기후변화 해결책 아냐…富國 책임이 우선”
印 환경장관 “부자 국가가 탄소 배출 등 역사적 책임져야”
부펜데르 야다브(왼쪽) 인도 환경부 장관과 존 케리 미국 기후특사의 모습. [AP]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세계 3위의 탄소배출국인 인도가 ‘넷제로(Net Zero, 온실가스 순배출량 0)’ 목표 설정은 기후 변화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며 대신 ‘부자 국가 책임론’을 거론했다.

28일 AP통신 등 외신과 현지 언론에 따르면 부펜데르 야다브 인도 환경부 장관은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인도 정부의 입장을 전했다.

세계 각국이 이달 31일부터 내달 12일까지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를 앞두고 탄소 중립 목표 시기를 공개하고 있지만 경제 성장이 급한 인도는 이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인 것이다.

미국, 영국, 중국 등 다른 나라와 달리 인도는 아직 넷제로 달성 목표도 밝히지 않고 있다.

이날 회견에 동석한 환경부 고위 공무원인 R.P. 굽타도 “(대기 중에) 축적된 배출 가스가 기후 변화의 원인”이라며 “넷제로 자체는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목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각국이 대기 중에 얼마나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게 더욱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넷제로 등 기후 변화 대응 새 목표 설정과 관련해서는 “모든 선택지가 테이블 위에 올려진 상태”라고 말했다.

BBC 방송에 따르면 인도의 연간 탄소 배출량은 7억1400만톤(t)으로 중국(27억7700t), 미국(14억4200만t)에 이은 대표적인 탄소 배출국이다.

하지만 1850년대 이후부터 따지면 인도가 세계 누적 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에 그친다고 AP통신은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야다브 장관은 부자 국가들이 탄소 배출과 개발도상국 및 기후 변화 취약국의 이익 보호와 관련해 ‘역사적 책임’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금까지 대기 오염을 일으키며 경제 성장을 했던 선진국이 이제 막 경제를 일으키려는 개발도상국에 환경 대응 부담을 지우면 안 된다는 것이다.

야다브 장관은 이번 COP26에서는 ‘기후 정의(climate justice)’를 위해 싸울 것이라며 부자 국가가 지구 온도 상승 완화 조치에 비용을 지불하게 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450GW의 전력을 확보하기로 하는 등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자체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 중이다.

야다브 장관은 “인도는 부자 나라의 약속된 자금 지원 없이 목표치를 달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인도 재무부는 2019년에 자국의 기후 목표 달성 비용을 2조5000억달러(약 2925조원)로 추산한 바 있다.

이번 COP26에는 나렌드라 모디 총리도 참석할 예정이다.

야다브 장관은 “인도는 이번 회의에서 (기후 변화 대응 관련) 해결책을 찾는데 헌신할 것”이라고 말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