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족 측 “盧 전 대통령, 평소 ‘작은 묘지’ 쓰길 원하셨다”
김부겸(맨 오른쪽) 국무총리가 2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故) 노태우 전 대통령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노태우 전 대통령이 평소 '작은 묘지'에 묻히고 싶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족은 파주 '통일동산'에 장지를 마련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유족 측 한 관계자는 헤럴드경제와 통화에서 "노 전 대통령이 평소에 장례는 검소하게 하고, 묘지도 작게 마련하고 싶다는 뜻을 밝히셨다"고 말했다. 장례 방식이 '국가장'으로 결정된 만큼 유족 측은 장지 결정에 대해서 정부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노 전 대통령의 아들인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센터 원장은 지난 27일 헤럴드경제와 통화에서 장지와 관련해 “유족은 아버지의 뜻에 따라 파주를 원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노 원장이 말한 장지는 파주에 있는 통일동산이다. 유족은 지난 26일 “생전에 이루지 못한 남북 평화통일이 다음 세대에 이뤄지길 바란다”는 내용의 유언을 공개하며 “장지는 이런 뜻을 받들어 재임 시에 조성한 통일동산이 있는 파주시로 모시는 것을 협의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유족 측은 지난 6월 파주시를 방문해 노 전 대통령의 장지로 파주시 탄현면 통일동산 인근을 사용하고 싶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파주시는 통일동산이 '관광특구'로 지정된 만큼 장묘시설이 들어설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노 원장은 인터뷰에서 "아버지가 어떤 식으로 연관이 돼 있으니 본인이 책임을 짊어지고 안고 간다고 평소 말씀하셨다”며 “아버지가 광주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굉장히 신경을 썼는데 돌아가셔서 아쉬움이 크다”고 말했다. 노 원장은 노 전 대통령의 유지를 받아 2018년부터 5차례 광주를 방문해 희생자에게 사과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