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3년물 국고채 금리, 3년 만에 2%대로…긴축 우려 확산
연 2.044% 마감…9.7bp 급등
[사진=123RF]

[헤럴드경제] 인플레이션 압박과 긴축 우려가 확산하면서 금리 상승세가 강해진 가운데 27일 시장 대표금리인 3년물 국고채 금리가 3년 만에 연 2%를 넘어섰다.

이날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9.7bp(1bp=0.01%포인트) 오른 연 2.044%에 장을 마쳤다.

이는 2018년 10월 16일(연 2.048%) 이후 3년여 만의 최고치다. 같은 해 10월 24일(연 2.007%) 이후 처음 연 2%대로 마감했다.

10년물 금리는 연 2.487%로 3.0bp 상승했다. 2018년 8월 14일(연 2.503%) 이후 3년 2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5년물과 2년물은 각각 8.2bp, 9.9bp 오른 연 2.338%, 연 1.764%로 마감했다.

30년물과 50년물은 각각 0.5bp, 0.5bp 상승해 연 2.443%, 연 2.443%를 기록했다. 20년물만 연 2.487%로 0.5bp 내렸다.

하락 마감한 20년물을 제외한 전 구간 금리가 연고점을 경신했다.

전 세계적인 금리 인상 분위기 가운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전망에 무게가 실리면서 금리를 끌어올리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임박과 조기 금리 인상 가능성 거론에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지난 21일 장중 1.7%대까지 치솟았다.

우리나라 국고채 금리도 이달 초부터 연고점을 갈아치우고 있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10월 채권시장은 '패닉 장세'를 이어갔다"며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 등 해외 여건이 채권 투자심리를 계속 위축시켰고, 매파(통화 긴축·금리 인상 지지)적이었던 10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도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말이 가까워지고 기관들의 위험관리가 이어짐에 따라 채권시장에 적극적 매수세가 유입될 가능성이 크지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