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aT와 함께하는 글로벌푸드 리포트] 호주 ‘밀키트·로컬식품’ 급성장...비건 수요도 급증
호주에서 판매중인 다양한 밀키트 제품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확산 후 호주 소비자들은 가정간편식, 밀키트, 냉동식품의 구매를 늘리고 있으며, 비건(vegan. 완전 채식)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밀키트’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호주 내 밀키트의 주요 소비층은 요리에 번거로움을 느끼는 젊은 층이다. 올해 호주의 밀키트 시장 규모는 3억 달러(한화 약 3591억 원)이상으로 추정되며 전년 대비 4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외 여행의 제한에 따라 이국 음식을 간편하게 담은 밀키트의 수요도 늘었다.

밀키트 업체인 헬로프레시(Hello Fresh)는 해외 요리를 포함한 메뉴를 총 45종 판매하며, 다양한 메뉴를 맛보고 싶어하는 젊은 층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호주 시장조사기관 로이모건(Roy Morgan)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호주인의 절반 이상이 수입식품 보다는 자국의 생산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이 쇠퇴한 호주는 지난해 대유행 기간 식품, 소비재 등의 심각한 공급 부족 현상을 겪었다. 이에 소비자는 제품 원산지 및 기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주로 로컬 식품의 소비를 늘려가는 추세다. 지난 3월에는 소상공인 지원을 목적으로 한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 ‘바이오지나우(Buy Aussie Now)’가 오픈해 소비자들의 주목을 끌기도 했다.

비건 식품도 꾸준히 성장중이다. 호주는 세계 최대 규모의 축산국가이지만 소비자들의 육류 섭취량은 감소한 반면 비건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호주의 시장조사기관인 로이모건 리서치에 따르면 호주 비건 식품의 시장규모는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 10%를 기록했다.

호주 전체 인구의 12%에 해당하는 250만 명이 채식인이며 이중 비건 인구는 40만 명으로 추산된다. 글로벌 대체육 업체인 미국 ‘비욘드미트(Beyong Meat)’도 호주 비건 시장을 주목하면서 지난 2018년 말 호주의 주요 슈퍼마켓 체인에 제품을 내놓았다.

육성연 기자

[도움말=한태민 aT 자카르타 지사]

gorgeou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