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대북 적대정책 없다” 또 강조
한미 안보실장 대북정책 협의
美 ‘진정성’ 언급...北 반응 주목

미국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대미 비난 연설에도 대북 적대적 정책은 없다며 외교적 접근을 거듭 강조했다.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12일(현지시간) 서훈 국가안보실장을 만나 미국이 북한에 대한 적대시 정책이 없다는 미국 측의 ‘진정성’을 재확인했다고 청와대 국가안보실이 전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또 언제 어디서든 조건 없이 북한과 만나서 협상을 해나가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설리반 보좌관의 이같은 언급은 김 위원장이 한국시간 11일 국방발전전람회 연설에서 “미국이 최근 들어 우리 국가에 적대적이지 않다는 신호를 빈번히 발신하고 있지만 적대적이지 않다고 믿을 수 있는 행동적 근거는 하나도 없다”고 비난한 직후 나온 것이라 주목된다.

특히 설리번 보좌관이 대북 적대시 정책이 없다는 미국의 입장에 ‘진정성’이 있다는 취지로 언급함에 따라 북한의 대응에도 관심이 쏠린다. 미국은 북한이 대화에 응하기만 하면 모든 관심 사안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설리번 보좌관은 이외에도 한미동맹이 안보, 경제를 포괄하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전략적 핵심축(linchpin)으로서 양자관계 발전뿐 아니라, 역내 문제 및 기후변화, 보건, 신기술 등 현안 해결을 위해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 실장은 미국이 동맹 중시 기조 하에 전 세계에 모범이 되는 리더십을 토대로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번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후변화 등 주요 지역 및 글로벌 현안에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양측은 한미 관계가 역사상 최상의 수준이라는 데 공감하고, 지난 5월 워싱턴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미동맹을 ‘미래를 향한 포괄적 파트너십’으로 발전시켜나가기로 한 이후 백신, 기후변화, 신기술, 반도체 공급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후속 조치가 착실히 이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양 측은 이번 협의가 한미동맹의 미래발전, 한반도 비핵화 및 주요 글로벌 현안에 대한 양국 간 공조 강화에 기여했다는 데 뜻을 같이했고 앞으로도 각 급에서 소통을 이어나가기로 했다고 국가안보실 측은 전했다.

박병국 기자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