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잘 가꾼 우리 숲! 더 푸르고 울창해졌다···산림청, ‘2020 산림기본통계’ 발표
- OECD 국가들의 산림률 중 핀란드(73.7%), 스웨덴(68.7%), 일본(68.4%)에 이어 4위 지속 유지
(산림청 제공)

[헤럴드경제(대전)= 이권형기자] 지속적인 숲가꾸기 활동으로 임목축적(나무의 재적)이 최근 5년 동안 크게 증가했다. 산림청(청장 최병암)은 30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0 산림기본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5년에 비해 2020년 임목축적이 13% 증가했으며 산림면적은 629만ha로 국토의 62.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0년말 기준 산림면적은 629만ha로 국토의 62.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산림률 중 핀란드(73.7%), 스웨덴(68.7%), 일본(68.4%)에 이은 4위를 지속해서 유지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산림면적이 각각 135만ha, 133만ha로 국내 산림면적의 42.8%를 차지하고 있으며, 소유별로 국유림 166만ha (26.3%), 공유림 48만ha(7.7%), 사유림 415만ha(66.0%)로 전체적으로 사유림 비중이 높으나, 국유림 확대 정책 등의 영향으로 국유림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숲의 울창한 정도를 나타내는 임목축적(나무의 재적)은 ha당 165㎥로 5년 전 146㎥에 비해 13%, 10년 전에 비해 30% 증가했다.

그러나, 전체적인 산림면적은 도로, 대지, 공장용지 조성 등 산지전용으로 2015년 대비 4만8000ha 감소했다.

2020년말 기준 전체 산림의 임목축적은 10억 3837만㎥로 식목일 제정원년인 지난 1946년(5644만㎥)에 비해 18.4배, 치산녹화 원년인 1973년(7,447만㎥)에 비해 13.9배 증가했다.

반면, 31년생 이상 숲의 비율은 증가(72.1%→81.2%) 했으나, 연평균 임목축적 증가율은 감소추세로 나타났다.

한편, 산림기본통계는 국가승인통계로 산림면적과 임목축적을 5년마다 조사해 공표하고 있다. 이번 통계는 지난 2016년~2020년까지 진행된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임목축적을 산출했다.

kwonhl@heraldcorp.com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