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공예박물관, 국내 첫 이동식 아카이브 ‘한국공예상자’ 개발
168cm 높이 상자 2개에 실물표본 124점 전시
백자공예상자. [서울공예박물관 제공]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서울시가 설립한 국내 유일의 공예 전문 박물관인 서울공예박물관이 국내 최초로 이동식 아카이브인 ‘한국공예상자(K-Craft Box)’를 개발했다.

국내 공예문화의 가치를 보다 쉽게 널리 알리고, 평소 접하기 어려운 공예 재료와 기술을 대중들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다.

서울공예박물관(이하 박물관)은 23일 조선~근대 백자의 제작과정과 핵심기술을 집약한 ‘백자공예상자’를 공개했다.

한국공예상자는 고정된 장소에서만 볼 수 있는 통상적인 아카이브와 달리, 성인 키만한 상자에 실물표본을 수납한 키트(KIT) 형태로 제작된 신개념 아카이브다.

바퀴가 달려 있어 국내외 어디로든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전시, 교육, 체험활동 등 쓰임새가 다양하다. 키트(KIT)의 모양에 따라 책장, 병풍, 사방탁자 등 여러 형태로 바꿀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와 접목, 온라인 상에서도 체험할 수 있다.

병풍처럼 펼친 형태의 백자공예상자. [서울공예박물관 제공]

한국공예상자 1호인 백자공예상자는 박물관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과 1년여간 협력해 제작했다. 현대도예‧산업디자인‧미술아카이브‧도자사 분야 전문가들과 10여 명의 작가와 장인이 제작에 참여했다.

백자공예상자는 168㎝ 높이의 상자 2개(재료상자, 기법상자)가 한 세트로 구성되며, 총 124점의 실물표본을 담고 있다. 관람객들은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백자의 주요 원료인 태토, 유약, 안료 등을 직접 만져보면서 완성품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원재료가 공예품으로 완성되는 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서울공예박물관 아카이브실(전시2동 3층)에서 만날 수 있다.

박물관은 추후 개별 표본의 세부정보 DB와 표본화가 어려운 성형(成形 : 백자 기물의 형태를 만드는 일) 과정, 제작도구, 번조(燔造 : 굽기) 과정 등은 QR코드를 활용해 영상‧디지털 콘텐츠로 연동해 볼 수 있도록 서비스할 예정이다.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은 “이동식 공예 아카이브 1호로 제작한 ‘백자공예상자’가 공예가 지닌 과정의 미학을 대중에게 친근하게 소개하는 새로운 콘텐츠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공예상자를 백자에 이어 칠공예, 금속공예 등으로 확장시켜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