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카불 테러’ 희생 미군유해 13구 귀환...바이든 공항 영접
검은 마스크 쓴 바이든 부부 침통
바이든, 군 통수권자 된 후 처음
행사 전 유족들 만나 위로하기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에서 29일(현지시간) 미군 드론에 공습 당한 차량과 그 주변 지역이 심하게 훼손돼 있다. [AP]

아프가니스탄 카불 공항 자살 폭탄 테러로 희생된 미군 13명의 유해가 29일(현지시간) 본국으로 귀환했다. 미 공군 수송기 C-17이 미 델라웨어주 도버 공군기지에 내리자, 조 바이든 대통령 내외가 직접 이들을 맞이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군 통수권자가 된 후 해외에서 임무를 수행하다 목숨을 잃은 미군 장병 유해를 맞으러 나간 건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네 번,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두 번 이런 행사에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는 영부인 질 바이든 여사 외에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마크 밀리 미 합참의장 등 미 외교안보분야 최고 수장들도 함께 했다.

이들은 수송기 도착 후 수송기 출구 쪽으로 걸어가 기도를 올렸다.

이어서 수송기에서 침묵 속에 성조기로 덮힌 유해함이 하나씩 수송기 밖으로 내려졌고, 밖에 대기하고 있던 운구 차량으로 옮겨졌다.

검은 양복 차림에 검은 마스크를 쓴 바이든 대통령은 관이 C-17에서 나와 운구 차량에 실릴 때까지 오른손을 가슴에 올린 채 시선을 고정했다. 기도를 하는 듯이 고개를 숙이거나 눈을 감는 등 내내 침통한 모습이었다.

밀리 합참의장과 데이비드 버거 해병대 사령관, 제임스 맥콘빌 육군장관 등은 거수경례를 했다. 잔뜩 흐린 날씨에 빗방울까지 떨어지는 도버 기지에서 오전 11시 18분에 시작된 행사는 약 50분 뒤인 낮 12시 7분에 끝났다. 13명 중 11명의 유해가 공개적으로 이송됐다. 나머지 2명 유해는 유족 요청에 따라 비공개로 옮겨졌다.

CNN 방송 등 미 언론은 침묵 속에 진행되는 행사를 생중계했다. 간간이 진행자가 말을 보태기는 했지만, 방송 역시 대체로 침묵 속에 진행됐다. 행사 중 일부 유족들이 흐느끼는 소리가 들리기도 했다고 취재진은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 부부는 이날 행사장에 일찍 도착해 유족들을 위로했다.

희생자 13명은 20~31세의 젊은 군인들로, 5명이 20세였다.

2001년 9·11 테러 당시 태어나 ‘9·11의 아이들’로 불린 이들은 9·11로 시작된 전쟁의 말미에 희생돼 더욱 안타까움을 샀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아프간 주둔 미군을 31일까지 철군하기로 했다. 철군 시한을 닷새 앞둔 26일 카불 공항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해 미군 13명이 숨지고 15명이 부상했다. 아프간 주민의 경우는 사망자가 170명, 부상자가 1300명까지 늘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온 상태다.

이번 사건은 지난 10년간 아프간 주둔 미군 역사에서 최대 규모의 피해를 낸 사건으로 기록됐다. 또한 아프간 미군에 사망자가 발생한 건 지난해 2월 이후 처음이다. 김수한 기자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