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은행 예·적금금리도 오른다…금리 2%대 신용대출 사라질 듯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반영

[헤럴드경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중은행의 예·적금 등 수신금리가 다음 주부터 0.2%포인트 안팎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대출금리는 수신금리 인상과 연내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 등의 영향으로 서서히 오를 것으로 보인다.

29일 은행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들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을 반영해 예·적금 상품의 금리 조정에 나서고 있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연합뉴스]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는 기준금리 인상 이틀 뒤인 지난 28일 ‘코드K 정기예금’ 금리를 가입 기간 전 구간에 대해 0.2%포인트 인상했다.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연 1.4%다. 신한은행은 30일 예·적금 금리를 0.2~0.3%포인트, NH농협은행도 다음 달 1일 0.05~0.25%포인트 올릴 계획이다.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를 비롯해 KB국민·하나·우리은행도 조만간 예·적금 금리를 올리기로 했다. 외국계 은행인 씨티은행과 SC제일은행도 기준금리 인상분을 반영해 수신금리를 올릴 예정이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2020년 5월(연 1.07%) 이후 0%대를 유지해왔다. 지난 7월 기준 연 0.91%였다. 시중은행들의 잇따른 수신금리 인상으로 정기예금 상품 금리 수준이 연 1%대 초중반으로 오를 것으로 보인다. 정기적금 평균 금리는 2020년 7월부터 계속 1.1%대에 머물러 왔으며 지난 7월에는 연 1.14%였다.

10월에 새로 나가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부터 본격적으로 대출금리가 높아질 가능성이 커졌다. 9월에 오르는 시중은행의 수신금리는 10월 15일 발표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금리’에 반영된다. 수신상품 금리 등 조달 비용을 바탕으로 산출하는 ‘코픽스 금리’는 주담대 변동금리를 산정하는 주요 지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지난 19일 기준 코픽스 연동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2.62~4.13%였는데, 앞으로 금리가 오르며 점점 2%대 대출이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주담대 혼합형 금리(초기 5년 고정·이후 변동금리)는 금융채 AAA 등급 5년물을 기준으로 삼는다. 6개월 금융채 금리가 기준금리 인상 기대를 선반영해 1%를 넘은 상황이라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이 바로 ‘시장금리’ 인상으로 이어지진 않는다는 게 은행권의 설명이다.

다만,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를 추가로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 점이 가계의 대출금리를 끌어올릴 가능성이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10~11월에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남아있다”면서 “시장 상황에 따라 10월까지 시장금리가 추가로 상승해 대출금리의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금융당국이 은행권을 상대로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강화하는 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들은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이유로 우대금리 축소, 가산금리 인상 등의 조처를 하며 사실상 대출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있다. 우대금리를 축소하면 사실상 대출금리를 인상하는 효과가 있다.

신용대출에서도 조만간 2%대 금리가 자취를 감출 것으로 보인다. 신용대출은 대다수 상품의 기준 금리가 6개월 또는 12개월 ‘변동금리’다. 매년 기한연장 때 금리가 변경되는 경우가 많다. 신용대출은 금리가 매일 바뀌는 금융채를 기준으로 하므로 대출금리가 비교적 빨리 오를 수 있다.

4대 시중은행의 지난 19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96~4.01%다. 작년 7월 말과 비교해 1년 만에 하단이 1%포인트 가까이 높아졌다.

onlinenews@heraldcorp.com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