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CDC “델타 변이에 백신 효과 91%→66%”
미 의료인력, 구조대원 등 4200여명 대상 조사
미 병원 간호사가 24일(현지시간) 오클라호마의 한 병원 내 코로나19 감염 환자 병실을 방문해 환자 상태를 살펴보고 있다. [로이터]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가 우세종이 된 뒤 백신의 효과가 66%로 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24일(현지시간)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질병 발병·사망률 주간보고서’(MMWR)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자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했을 때 델타 변이가 감염원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시기에 백신의 감염 예방효과는 66%로 델타 변이가 우세종이 되기 전(91%)보다 낮아졌다.

연구진은 미 6개 주의 의료인력과 구조대원 등 일선에서 일하는 필수인력 4217명을 지난해 12월 14일부터 올해 8월 14일까지 35주간 추적·조사했다.

델타 변이가 우세종이 되기 전 시기엔 조사 참가자 가운데 백신접종을 완전히 마친 2875명 사이에서 10명의 감염자가 나와 백신 효과가 91%로 측정됐다.

델타 변이가 우세종이 되고 나서는 백신접종을 완료한 2352명 가운데 24명이 코로나19에 감염돼 백신 효과가 66%로 산출됐다.

다만 이번 조사는 백신 효과 산출치의 통계적 불확실성이 큰 편이다.

델타 변이가 우세종이 된 뒤 백신 효과는 95% 신뢰수준에서 신뢰구간이 26~84%로 제시됐다.

이는 백신 효과 참값이 95% 확률로 26%와 84% 사이에 있다는 의미다.

델타 변이가 우세종이 되기 전 백신 효과는 같은 95% 신뢰수준에서 신뢰구간이 81~96%로 나왔다.

한편 이번 조사 기간 전체를 통틀어선 백신접종 완료자 2976명 중 34명이 코로나19에 걸려 전체적인 백신 효과는 80%로 측정됐다.

백신접종을 완료하고 120일이 안 된 참가자만 추려서 백신 효과를 계산하면 85%로, 접종을 마치고 150일 이상이 지난 참가자들을 기준으로 산출한 효과(73%)보다 높았다.

델타 변이가 백신 효과를 낮춘다는 보고는 앞서 이스라엘과 영국서도 나온 바 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