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9월 한미정상회담 가닥…아프간 사태 불똥튄 ‘동맹’ 우려 불식 시도
文대통령 유엔총회 대면 참석 가닥
아프간 미군 철수로 일각에선 동맹관계 우려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월 21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9월 뉴욕에서 열리는 제76차 유엔총회에 대면 참석하는 것으로 방향이 잡혔다. 문 대통령 방미를 계기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이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미군 철수로 촉발된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장악이 한미동맹에 대한 우려로 불똥이 튄 가운데 이뤄진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19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미국과 유엔의 상황을 지켜봐야겠지만 현재 대통령이 직접 뉴욕을 방문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전날 청와대 핵심관계자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참석 여부와 관련 “9월 유엔총회가 열리고, 또 참석해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될 것 같다”며 대면 참석에 무게를 실었다. 앞서 탁현민 의전비서관 등 청와대 관계자들은 이달 초 뉴욕에서 사전답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지난해 열린 유엔총회가 화상으로 진행된데 이어 올해도 일부 화상으로 진행될 예정이지만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대면 참석을 적극 추진해왔다. 유엔총회 참석이 한미정상회담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확산으로 화상으로 진행된 2020년을 제외하고는 취임 후 매년 유엔총회에 참석했고 그때마다 한미정상회담이 개최됐다.

이번 방미시 개최되는 한미정상회담은 아프간 사태로 동맹국 내에서 제기되는 우려를 불식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6일(현지시각) 대국민 성명을 통해 아프간 사태와 관련 “미국의 이익이 없는 곳에서 싸우지 않겠다”고 밝혔는데 이후 미국의 동맹국과 파트너국가 사이에서는 안보 불안이 확산되는 게 사실이다. 미국의 외교정책이 갑자기 바뀔 수 있다는 우려에서 비롯된 것이다.

특히 야권에서 한미동맹에 대한 경계론이 높아지고 있다. 박진 국민의힘 의원은 “미국은 여론이 움직이는 나라”라며 “여론에 따라 주한미군이 철수하지 말라는 법이 없다”고 했고, 강민국 원내대변인 역시 “아프간 사태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한미동맹 유지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했다.

주요 동맹국들이 동요하자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한국과 유럽은 내전이 아닌 시기에도 외부의 적에 대항해 동맹을 보호하기 위해 오랫동안 미군의 주둔을 유지해 왔던 곳이라면서 미국이 아프간에서 주둔한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상황이라며 안심시키기에 나서기도 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