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머지 사태’ 극단 가나…“직원 협박, 법적대응” vs 피해자들 “맞고소 검토”
머지플러스 “임직원 피해, 법률 대응 진행”
임직원 신상 가리고 사무실 접근 차단 조치도
피해자들 “뻔뻔한 대응…사기 등 맞고소할 것”
법조계 “온라인상 명예훼손·모욕죄 가능” 의견
경찰도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혐의로 내사 착수
서울 영등포구 머지플러스 본사 건물 4층의 모습. 임직원들이 자리를 비우고 불이 꺼진 상태다. 해당 층은 18일 오후 2시께에는 엘리베이터를 통한 출입이 가능했으나, 오후 6시께부터는 엘리베이터를 통한 접근이 차단됐다. 김지헌 기자

[헤럴드경제=김지헌 기자]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20% 할인한 가격으로 팔다가 대규모 환불 사태를 일으킨 머지포인트에 대해 경찰이 내사에 착수한 가운데, 운영사인 머지플러스가 임직원 피해에 대한 법적 대응을 예고하면서 피해자들 역시 ‘맞고소 카드’를 거론, 갈등이 극단으로 치달을 조짐을 보이고 있다.

19일 헤럴드경제와 통화한 ‘머지포인트 환불 사태’ 관련 한 피해자는 “머지플러스가 최근 임직원 피해와 관련해 법적 대응을 예고하자 같이 맞고소하자는 주위 지인들의 의견이 많다”며 “피해액 환불이 제대로 안 될 경우 손해 배상은 물론 사기 혐의 관련 형사 고소 역시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18일 머지포인트 피해자들이 모인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12~13일 환불 요청 당시)현장에 계셨던 분들 중에도 피해 입으신 분이 계신 것으로 안다. 법적으로 맞고소해 달라”는 내용의 글이 올라왔다. 피해자들이 1000명 가까이 모인 단체 채팅 방에서도 머지플러스에 대한 고소 논의가 오갔다.

앞서 18일 오후 머지플러스는 환불 정책을 알리는 공지를 내며 “본사가 불법 점거된 상황에서 임직원들의 사진 등 개인정보가 온라인을 통해 삽시간에 퍼져 임직원들이 신변의 위협을 느끼고 있다”며 “오피스 점거로 발생한 파손 등은 법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지는 않으나, 임직원 개인에 대한 협박, 모욕, 명예훼손에 대해서는 법률 대응이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머지포인트 피해자들에 대해 머지플러스가 고소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머지플러스는 공지에서 “오피스 점거로 발생한 파손에 대한 법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회사는 사내 절도에 대한 신고를 경찰에 접수한 뒤 조사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18일 기자가 찾은 서울 영등포구 머지플러스 본사에서는 ‘임직원 개인 정보 유출 차단’에 나서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텅빈 사무실에는 용역 직원들이 들어와 사무용 책상 앞에 붙은 개인 이름표 등 임직원 개인정보가 될만한 사항을 없애고, 이 회사가 사용하던 층들의 엘리베이터 버튼이 눌리지 않도록 접근을 차단했다. 2층에만 따로 외부 직원들을 고용해 고객 환불 요청에 대응하고 있었다.

1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머지포인트 본사 앞에 환불을 받기 위한 긴 줄이 늘어섰다. 김빛나 기자

법조계에서는 머지플러스 측에서 실제로 고소가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조세희 밝은빛 법률사무소 변호사는 “임직원의 실명을 거론하며 사람들이 다수 모인 온라인 카페나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 비난할 경우 그것이 진실이든 허위사실이든 명예훼손 혐의가 인정될 수 있다”며 “모욕죄 역시 성립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머지플러스 측의 법적 대응 예고에 피해자들은 “참 뻔뻔하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공지를 본 이들은 사회연결망서비스(SNS) 상에서 “적어도 피해자들이 왜 이리 난리를 치는지 헤아리는 단어 하나 (공지에) 없어서 기가 찬다”, “저렇게 철면피니까 사기 논란에 휩싸인 것이다”, “(피해자들을) 고소할 때 하더라도 그 전에 환불부터 해라” 등의 반응을 내놨다.

일각에서는 피해자 온라인 커뮤니티와 일부 SNS에서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과도한 비방을 자제해 달라는 의견도 나왔다.

한편 18일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최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머지플러스의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혐의에 관한 수사 의뢰서를 접수해 본격적인 내사에 착수했다. 현재까지 피해자들로부터 사기 등 혐의로 고소·고발이 접수된 것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내사 착수를 바탕으로 절차대로 조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ra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