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 대사관, 미군 헬기타고 아프간 탈출…대사, 교민1명 위해 남아
정부, 화상회의 중 '이동하라' 우방국 정보 접수
대사관 잠정 폐쇄 결정…현재 공관원 3명·교민1명 남아
이르면 오늘 중 교민 출국지원…미군자산으로 이동
아프가니스탄 정권 붕괴 후 수도 카불을 장악한 탈레반이 사실상 승리를 선언한 가운데 16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주한 아프가니스탄 대사관이 적막한 모습이다. [연합]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카불 장악하기 직전, 현지 한국 대사관은 우방국의 정보와 미국과 체결한 MOU(양해각서)를 통해 최소한의 인력만 남기고 철수할 수 있었다. 아프간주재 한국대사관이 미측과 체결한 MOU는 유사시 미국이 군 자산 등을 동원해 한국의 철수를 지원토록 하고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16일 “전날 외교부 장관 주재로 주아프간 대사와 화상회의를 진행하던 중 우방국으로부터 이동하라는 메시지를 받고 회의 끝에 ‘빠질 수 있는 건 빼자’고 결정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아프간 주재 한국대사관이 미국과 체결한 유사시 MOU에 따라 지원을 받아 최소한의 공관 인력만 현지에 남겨두고 제3국으로 모두 철수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최태호 대사를 비롯한 공관 인력 2명은 현지에 남아있는 우리 교민 1명이 최대한 이날 중으로 출국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우방국의 지원 등으로 상대적으로 안전한 곳에서 머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 대사와 남은 공관원들도 철수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앞서 탈레반은 15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을 장악했고, 대통령궁도 수중에 넣은 뒤 “전쟁은 끝났다”며 사실상 승리를 선언했다. 미국이 지난 5월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단계적 철수를 시작한 지 3개월 만이다. 외교부는 15일 자정께 공지를 통해 “정부는 아프가니스탄 상황이 급격히 악화돼 15일 현지 주재 우리 대사관을 잠정 폐쇄하기로 결정하고 공관원 대부분을 제3국으로 철수시켰다”고 밝혔다.

아프가니스탄에 체류했던 교민 대부분은 정부가 지난 6월 철수를 요청한 이후 현지를 떠났으나 마지막 교민 1명이 현지에 남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아프가니스탄에 잔류한 공관원과 우리 교민들이 마지막 한 분까지 안전하게 철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munjae@heraldcorp.com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