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바이오, 글로벌 진격...의약품 수출 ‘최고’
보건산업진흥원 상반기 실적발표
의약품 수출 47억8000만 달러
진단키트·백신판매 꾸준히 늘어

전 세계적으로 국내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며 상반기 의약품 수출액이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국내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품질과 가격경쟁력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어 하반기에도 좋은 성적이 기대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2021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발표했다.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액은 총 124.5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대비 30.3% 증가했다.

분야별로는 의약품이 47.8억 달러로 전년보다 25.5%, 화장품이 46.2억 달러로 34.9%, 의료기기가 30.4억 달러로 31.4% 각각 증가하며 전 분야 모두 역대 상반기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의약품 수출 실적을 국가별로 보면 독일 13.8억 달러, 일본 3.8억 달러, 미국 3.4억 달러, 중국 3.3억 달러 등의 순으로 수출 상위권을 차지했다. 독일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전체 수출의 28.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네덜란드 2.2억 달러(207.7%), 슬로바키아 1억 달러(30,560.4%)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며 수출 순위가 상승했다. 다만 미국(42.0%)과 터키는 각각 42%, 52.4%가 감소하며 순위가 하락했다.

미국으로 의약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42.0% 감소하며 수출 순위가 1단계 하락한 3위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의 확산세가 뚜렷하던 2020년 상반기에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면역물품 및 소독제 수출이 다소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품목별로는 면역물품(29.9억 달러), 기타(완제)(2.9억 달러), 백신(1.3억 달러), 기타(원료)(1.2억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의약품 등이 포함된 면역물품이 총 수출의 62.6%를 차지하였다. 특히 면역물품 중에는 바이오시밀러의 수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생산 바이오시밀러는 유럽, 미국 및 일본에서 처방확대에 따른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베트남 등 아시아지역으로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실제 셀트리온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의 경우 유럽 53%, 미국 14%, 일본 19%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고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도 유럽과 미국에서 각각 시장 점유율 36%, 22%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면역물품에 속하는 진단키트와 백신 등도 세계적인 코로나 변이바이러스 확산에 따라 판매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백신 수출은 지난 해 2분기 0.9억 달러에서 올 2분기 1.3억 달러로 증가했다. 의료기기 수출액도 30.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1.5% 증가했다.

한동우 진흥원 보건산업기획단장은 “지난해 상반기는 갑작스런 코로나19 확산으로 전산업이 대외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며 “하지만 올해는 전통 주력산업의 선전으로 기저효과를 배제하더라도 수출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손인규 기자

iks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