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靑 "남북정상, 조속한 관계 복원 합의…회담 언급은 없어"
"친서에, 정상회담 언급은 없어"
4월 판문점 회담 계기로 친서 교환
[연합]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친서를 통한 합의로 남북 통신연락선이 재개된 가운데, 두 정상이 '조속한 관계 복원'에 의견을 같이 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친서에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극복과 폭우 상황에 대한 논의도 포함됐다. 정상회담과 관련된 언급은 담기지 않았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7일 서면을 통해 통신연락선 발표와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관계자는 "양 정상은 남북관계가 오랜 기간 단절되어 있는 데 대한 문제점을 공유하고,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서는 조속한 관계 복원과 신뢰 회복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친서에는) 코로나와 폭우 상황에 대해 조기 극복과 위로의 내용 등이 있었으며, 한반도의 평화와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대화들이었다"고 했다.

또 "또한 두 정상은 현재 코로나로 인해 남북 모두가 오래 고통 받고 있는 상황에서 하루속히 이를 극복해 나가자고 서로 간에 위로와 걱정을 나누었다"고 했다.

통신연락선 복원이 두 정상 중 누가 먼저 제안했냐는 질문에는 "통신연락선 복원은 양측이 협의한 결과"라고 답했다. 남북 양측은 연락사무소를 통해 하루 두차례 통화를 할 예정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양 정상간 통화에 대해서는 협의한 바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상간 대면 접촉 계획과 이 같은 내용이 친서에 언급됐는지에 대한 질문에 "양 정상 간 대면 접촉에 대해 협의한 바 없다"고 했다. 화상 정상회담에 대해서도 "논의한 바 없다"며 4월부터 친서를 교환한 계기에 대해선 "4월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 3주년을 계기로 친서를 상호 교환했다'고 밝혔다.

앞서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오전 10시를 기해 남북 통신연락선이 복원됐다고 발표했다. 남북관계 회복에 대한 논의를 해오던 양 정상은 남북 통신연락선을 우선적으로 복원하기로 합의했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4월부터 양 정상은 수차례 친서를 교환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