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제유가, 美 원유 재고 증가에도 상승세 지속…WTI 4.6%↑ [인더머니]
국제금값, 달러 강세에 4영업일 연속 하락…1800달러선은 지켜
[123rf]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국제유가는 미국의 원유 재고가 9주 만에 증가했다는 소식에도 전날 상승세를 이어갔다. 단기 낙폭 과대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효하고 하반기 원유 수요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21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9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3.10달러(4.6%) 오른 배럴당 70.30달러로 마감했다.

WTI 가격은 지난 19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에 대한 우려와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 산유국들의 감산 완화 합의에 7.5% 급락했으나 낙폭 과대에 따른 반발 매수세와 하반기 수요 기대가 유지되면서 빠르게 70달러대를 회복했다.

런던ICE선물거래소의 9월물 브렌트유도 전날보다 2.90달러(4.18%) 상승한 72.2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원유시장은 미국의 원유 재고가 9주 만에 예상을 깨고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휘발유 재고와 정제유 재고가 모두 줄어 여전히 수요는 견고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상승세에 힘이 실렸다.

특히 오클라호마 쿠싱 지역의 원유 재고가 2020년 초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소식이 유가를 크게 반등시켰다.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지난 16일로 끝난 한 주간 원유 재고는 210만7000배럴 증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애널리스트 예상치는 150만배럴 감소였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글로벌 플랫츠의 애널리스트들은 670만배럴 감소를 예상했다.

미국의 원유 재고는 예상과 달리 9주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휘발유 재고는 12만1000배럴가량 줄어들었고, 정제유 재고는 134만9000배럴가량 감소했다. 애널리스트들은 휘발유 재고는 150만배럴 감소하고, 정제유 재고는 40만배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어게인 캐피털의 존 킬더프 파트너는 “수입은 크게 늘었으나 수출은 줄어들면서 재고가 깜짝 증가했다”며 “이번 보고서에서 유일하게 긍정적인 부문은 여전히 휘발유 수요가 강하며, 정제유 수요도 반등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미국 원유 저장소인 오클라호마 쿠싱 지역의 원유 재고는 134만7000배럴 줄어 2020년 1월 이후 최저치를 경신했다.

프라이스 퓨처스 그룹의 필 플린 선임 시장 애널리스트는 “시장이 전체 (수급) 상황이 매우 타이트하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고 했다.

그는 “수입이 갑자기 크게 증가했고, 시장의 낙폭은 다소 저지됐으나 쿠싱 지역의 (재고) 감소세를 보면 위험할 정도로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쿠싱지역의 재고가 믿을 수 없는 속도로 줄고 있다며 재고가 조만간 최소 운영 가능한 수준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JP모건 애널리스트들은 전세계 원유 수요가 8월에는 하루 9960만배럴로 4월보다 하루 540만배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123rf]

국제금값은 4영업일 연속 하락했지만 1800달러는 턱걸이로 지켰다. 미국 달러화 강세가 금가격 하락의 직격탄이 된 것으로 풀이됐다.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에 따라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되면서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물 금 선물은 8.00달러(0.4%) 하락한 온스당 1803.4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팩트셋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일 이후 최저치 수준이다.

달러화가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면서 강세를 보인 탓에 금가격에 직격탄이 되고 있다. 안전자산이 달러화에 대한 수요가 몰리면서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 인덱스는 한때 전장보다 0.26% 상승한 93.190을 기록했다. 달러화 상승은 금가격에 부정적인 요인이다.

인시그니아 컨설턴트의 수석 분석가인 친탄 카르나니는 금가격이 거의 2주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면서 달러화 가치는 달러 인덱스와 채권 수익률의 조합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