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얀센 백신, 델타 변이에 덜 효과적…부스터샷 필요할 수도”
뉴욕대 연구진, 얀센 vs 화이자·모더나 접종자 혈액표본 비교
[EPA]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존슨앤드존슨(J&J)의 자회사 얀센이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델타 변이나 람다 변이를 막는 효과가 화이자·모더나 백신보다 덜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뉴욕대 그로스먼 의과대학 너새니얼 랜도 박사 연구진은 두 차례 mRNA(메신저리보핵산) 백신을 맞아 면역이 형성된 17명의 혈액 표본을 얀센 백신을 한 차례 맞은 10명과 비교했다.

그 결과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가 개발한 mRNA 백신은 베타, 델타, 델타플러스, 람다 변이에 대한 항체를 ‘보통’ 수준으로 생성했으나, 얀센 백신은 이런 변이들에 대한 항체의 중화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얀센 백신과 기전이 비슷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경우 한 차례 접종시 델타 변이에 의한 증상 발현을 막는데 33% 정도의 효력이 있다는 기존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라고 NYT는 전했다.

이번 연구는 J&J가 최근 발표한 연구 결과와는 어긋나는 것으로 평가된다.

앞서 J&J는 지난 1일 보도자료를 내고 제약부문 자회사인 얀센의 백신이 델타 변이 등 다양한 변이들에 강력한 예방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랜도 박사는 1회 접종으로 끝나는 얀센 백신 역시 효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른 백신들처럼 2회차 접종이나 부스터샷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의 메시지는 얀센 백신을 맞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향후에 얀센 백신을 추가 접종하거나 화이자 또는 모더나로 효력이 증대될 것이라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다른 백신 전문가들은 다른 백신들도 대부분 두 차례 접종 시 더 효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기에 예견했던 결과라는 반응을 보였다.

웨일코넬의과대학의 존 무어 박사는 NYT에 원숭이나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얀센 백신 역시 두 차례 접종할 때 효력이 훨씬 컸다면서 “나는 얀센 백신도 2회 접종 백신이라고 늘 생각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이번 연구를 주도한 팀이 백신 제조사들과 아무 관련이 없는 연구진이어서 더 신뢰가 간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에 등록됐으며 아직 동료평가(피어리뷰)를 거치거나 과학저널에 출간되지는 않았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