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윤희의 현장에서] 소상공인·자영업자 추경 ‘속도전’ 절실

“사실 헬스장은 7월이 최대 성수기인데 말이죠. 하필 이때....”

기자가 다니는 마포구 한 헬스장 대표가 텅 비다시피 한 헬스장을 둘러보곤 한숨을 내쉬었다. 서울형 상생 방역으로 밤 12시까지 운동이 가능하던 것도 잠시, 영업시간은 다시 밤 10시까지로 줄어들었다. 러닝머신에는 시속 6km 이상 달리지 말라는 안내문이 붙었고 샤워장은 가장 먼저 폐쇄됐다.

신규 등록 회원은 거의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기존 회원 중에서도 이용 정지 신청을 하는 경우가 잇따른다. 그 와중에 내려온 러닝머신 6km 속도 제한 지침은 조소를 자아낼 뿐이다. 이 헬스장 대표는 “이런 게 탁상행정인 거죠. 이러는 동안 소상공인·자영업자는 죽어나는 겁니다”라고 울분을 토했다.

비단 헬스장뿐만이 아니다. 출퇴근길에 무심히 지나치는 동네 음식점도 어느 순간 문을 닫는 곳이 하나 둘 늘어나고 있다. ‘임대 문의’가 붙은 지도 몇 달, 새로 들어오는 가게도 없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4단계 거리두기가 실시되면서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생존위기는 한층 더 심각해졌다. 4단계 거리두기로 사실상 저녁영업은 ‘셧다운’된 데다 대출 만기연장과 이자상환 유예기간이 오는 9월로 다가오면서 ‘파산 도미노’ 우려까지 나온다.

벼랑 끝에 몰린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분노도 점점 커지고 있다. 정부의 4단계 거리두기 지침에 불복해 거리로 뛰쳐나와 심야 차량시위를 벌이는가 하면, 수도권 소상공인 10명 중 6명이 휴폐업을 고민 중이라고 한다.(18일 발표 중소기업중앙회 실태조사)

지난 20일에는 업종별 소상공인 단체가 연합한 ‘코로나19 대응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가 여의도 국회 본관 앞에서 코로나 방역지침 재정립 및 손실 전액 보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이들은 30도를 웃도는 폭염 속에서도 “하루에 2000여개씩 휴폐업하는 외식업 자영업자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며 피를 토했다.

21일 국회서는 이틀째 2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 심의가 진행 중이다. 여야 모두 소상공인, 자영업자 피해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지만 재원 마련 방안을 두고는 여전히 간극을 좁히지 못하는 상태다.

앞서 여야는 애초 정부가 최대 900만원으로 책정한 소상공인 지원금을 최대 3000만원까지 대폭 늘리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추경안에 담긴 소상공인 피해지원 총 예산은 기존 3조2500억원에서 6조1800억원으로 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늘어난 예산을 마련하기 위해 약 33조원 규모의 추경 금액 자체를 늘리자는 주장을 내놨다. 국민의힘은 일자리사업 등 불필요한 예산을 깎아서 소상공인 피해 지원을 위한 추가 예산을 마련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여야 간 샅바싸움을 지켜보는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속은 바짝 타들어간다. 이들에게는 더욱더 신속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금 지급이 절실하다.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