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EY한영, ESG 자문서비스 전담 ‘ESG 임팩트 허브’ 출범

[헤럴드경제=이세진 기자]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이 기후변화 대응, 책임투자 확산으로 전 세계적으로 기업경영의 중심으로 자리잡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부문 강화를 위해 ESG 특화 조직인 ‘ESG 임팩트 허브(Impact Hub)’를 출범한다고 20일 밝혔다.

전사적인 지원으로 출범한 ESG 임팩트 허브를 통하여 EY한영은 기업의 ESG 관련 전략 수립부터 신사업개발에 이르기까지 전 서비스 영역의 역량을 강화한다.

ESG 분야는 시장조사업체마다 차이가 있지만 매년 두 자릿수의 높은 성장세가 예상되는 부문이다. 여기에 유럽연합(EU)과 미국을 중심으로 ESG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ESG는 향후 기업 경영에서 성장과 생존의 핵심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ESG 임팩트 허브는 ESG와 관련해 새롭게 부상하는 복잡한 이슈를 기존 단편적인 대응에서 벗어나 ESG 역량 강화 방안을 전사차원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일례로 최근 EY한영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기업이 2023년 미국, 유럽연합(EU), 중국에 지불해야 하는 탄소국경세는 약 6100억 원, 2030년에는 1조87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국내 기업은 탄소국경세를 회피하고 수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탄소를 저감하는 새로운 기술과 생산방식을 개발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ESG 중 사회영역 이슈는 더욱 광범위해 향후 기업의 대응이 갈수록 복잡하고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ESG 임팩트 허브는 ESG 규제대응, 투자자문, 비재무공시체계, M&A 및 신시장 개척 및 비즈니스모델개발에 이르는 원스톱 자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의 여러 서비스에도 ESG 이슈를 결합한 신규 서비스 개발도 적극 추진한다.

ESG 임팩트 허브는 기후변화 및 지속가능성 서비스(CCaSS) 리더 박재흠 파트너가 이끌고 기존 감사, 전략·재무자문, 세무, 컨설팅, 금융사업본부 등과 긴밀한 협력으로 운영된다. 박재흠 파트너는 20여 년간 공공기관 및 글로벌 컨설팅 업체에서 국내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경영 부문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은 ESG 전문가다.

또 지난 1월 카르마인 디 시비오(Carmine Di Sibio) EY 글로벌 회장 겸 CEO는 업계 최초로 ‘탄소 중립(Carbon Neutral)’을 넘어 이산화탄소 순 배출량을 마이너스로 만드는 ‘탄소 네거티브(Carbon Negative)’를 올해 내에 실현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를 위해 EY 글로벌은 재생 에너지 사용 확대, 친환경 기술 투자, 탄소 저감 목표 수립 등 탄소 네거티브 실현을 위한 ‘7대 액션 플랜’을 발표했다. EY한영도 EY 글로벌의 이러한 전략에 적극적으로 동참한다는 방침을 세웠으며 EY 글로벌과 협력해 환경 보호와 지속가능성장을 이끄는 다양한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박용근 EY한영 대표는 “ESG는 더 이상 기업의 일부 부서가 담당하는 영역이 아니며, 성장과 생존을 위해 전사적으로 총력을 다해 대응해야 할 필수적인 분야”라며 “EY한영은 ESG 임팩트 허브 출범을 통해 EY 글로벌 네트워크 및 각 사업 본부별 전문 인력을 결합해 우리나라 기업이 ESG 관련하여 직면하는 위기에 대응하고 ESG라는 기업의 도전과제를 기업의 새로운 기회로 전환하는데 폭넓게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jin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