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욱, 청해부대 집단감염 속 1함대 찾아 “방역지침 준수”
육군 경계·해군 방역·공군 재해 점검
“함정과 잠수함 집단감염 위험 높아”
서욱 국방부 장관은 19일 청해부대의 코로나19 집단감염 속 해군 1함대를 찾아 방역지침 준수와 신속하고 안전한 백신 접종을 당부했다. 서 장관이 해군 1함대 양만춘함(DDH-I·3200t급)에서 함정 내 방역태세를 점검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서욱 국방부 장관은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4400t급)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가운데 1함대사령부를 찾아 철저한 방역과 신속한 백신 접종을 당부했다.

서 장관은 19일 해군 1함대사령부를 방문해 구축함 양만춘함(DDH-I·3200t급) 함정 내 환자발생시 조치계획과 격리시설 현황 등 방역관리 현황을 보고받았다.

또 의무실과 격리시설, 장병식당의 방역실태도 점검했다.

서 장관은 “함정과 잠수함은 한정된 공간에서 다수의 인원이 밀집해 일정 기간을 근무하는 특성이 있다”며 “한명이라도 감염될 경우 대규모 집단감염으로 확산될 위험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방역지침을 철저하게 준수하고 오늘부터 시작되는 30세 이상 장병에 대한 2차 접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시행하라”면서 “함정 요원의 감염위험을 낮추는 등 대비태세 유지에 이상이 없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서 장관은 이날 동부전선 GOP(일반전초)를 방문해 과학화 경계시스템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하는 사업의 추진 경과와 향후 계획을 토의했다.

토의에는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육군본부,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ADD)의 주요 부서장과 현장 지휘관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경계시스템 오경보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감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AI를 적용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고려사항과 제한사항 등에 대해 논의했다.

최근 잇따라 경계망에서 허점을 드러낸 동부전선 해당지역에서는 연말까지 신속시범획득 사업 방식을 통해 취약지역부터 ‘음원 활용 AI 경계시스템’과 ‘레이다 연동 AI 경계시스템’ 등 2종을 도입하고 6개월간 ‘AI 실증랩’을 시범운영해가며 군 운용 적합성을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또 내년에는 노후 카메라 교체와 통제시스템 개선을 통해 AI 기능을 선제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서 장관은 “AI 기술을 접목한 과학화 경계시스템의 혁신적인 발전을 통해 경계작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긴밀한 민군 기술협력과 적극적인 ‘테스트 베드(Test Bed)’ 제공 등을 통해 미래국가 AI 기술발전에도 이바지해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서 장관은 같은 날 오전에는 과거 몇 차례 수해를 입었던 공군 18전투비행단을 찾아 작전현황을 보고받고 재난대비태세를 점검했다.

서 장관은 장병들의 노고를 치하한 뒤 “하계 태풍과 집중호우로 전투기 등 주요 전투장비와 장병 생활시설 등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철저하게 대비하라”고 지시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