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백악관-페북 ‘백신 허위정보’ 공방전
백악관 “페북 조치 충분치 않아”
페북 “접종부족 우리 때문 아냐”
대응수위 놓고 수개월째 갈등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에 대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허위정보 확산의 통로라고 비난하고, 페이스북이 이에 즉각 반발하면서 미 당국과 페이스북의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비베크 머시 미 공중보건서비스단(PHSCC) 단장은 논란이 심화되는 가운데 18일(현지시간) 폭스뉴스에 출연, “허위정보가 기술 플랫폼의 도움으로 산불처럼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면서 페이스북의 조치가 “충분하지 않다”고 다시 포화를 뿜었다.

페이스북이 허위정보에 대해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반박을 인정하면서도 더 강한 대응을 주문한 것이다.

미 당국과 페이스북은 허위정보 대응 수위를 놓고 수개월째 갈등을 벌이고 있다.

양측의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이 16일 이에 대한 실망감을 직접 표출하면서 논란은 수면 위로 떠올랐다.

바이든 대통령은 당시 기자들과 만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미디어에 대한 메시지가 있느냐는 질문에 “(소셜미디어가) 사람들을 죽이고 있다”며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백신 미접종자들 사이에 코로나19가 다시 유행하고 있다면서 페이스북 같은 소셜미디어 업체들이 온라인상에 떠 있는 백신 관련 거짓정보를 지우지 않고 방치해 사망자가 늘고 있다고 강조했다.

페이스북은 다음날 즉각 반박에 나섰다.

이 회사는 블로그에 글을 올려 허위정보 근절을 위한 자체 노력을 소개하면서 “바이든 대통령이 7월 4일까지 미국 성인 70%에 대해 백신을 최소 한 번은 접종시키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한 게 페이스북 때문은 아니다”면서 “미국 내 페이스북 사용자의 85%는 백신을 맞았거나 백신 접종을 원하는 사람들”이라고 밝혔다.

페이스북이 즉각 반박에 나선 것은 이 회사가 향후 이 문제에 대해 본격 방어에 나서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미 하버드대 쇼렌스타인센터의 미디어, 정치, 공공정책분야 연구 책임자인 조앤 도노반 케네디스쿨 교수는 “페이스북이 허위정보 논란에 대해 즉각 방어에 나섰다”면서 “이는 페이스북 조직 내부에서도 입장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압력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양측 논쟁이 가열되고 있지만, 미 당국자들은 소셜미디어 업체들을 압박하는 것 외에 별다른 정책 수단이 없다”면서 “게다가 이번 논란으로 페이스북은 정치적으로 궁지에 몰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페이스북은 여당인 미 민주당으로부터는 허위정보를 방치하고 있다고 비난 받고, 야당인 공화당으로부터는 게시물을 삭제하면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라는 지적을 받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할 상황에 놓였다는 것이다.

공화당 소속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은 이날 폭스뉴스에서 “독점주의자가 되고 있는 바이든 정부가 ‘너희들(소셜미디어)은 우리가 동의하지 않는 의견들을 거르는 도구야’라고 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언론분석기관 지그널랩스에 따르면 소셜미디어에 확산되고 있는 허위정보는 ‘코로나19 백신 때문에 미 전역에서 사망자가 늘고 있다’거나 ‘바이든 행정부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용량의 백신 접종을 의무화하고 있다’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또 ‘백신에는 마이크로칩이 포함돼 있어 이를 접종하면 DNA가 바뀐다’는 내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수한 기자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