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상초유 집단감염 귀국…‘총체적 부실’에도 국방부 ‘자화자찬’
국방부 낯 뜨거운 서욱 장관 공조통화 홍보
청해부대 코로나19 누적 확진 장병 247명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 확진자가 247명까지 늘어난 가운데 군 수뇌부를 향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문무대왕함 장병 전원의 후송을 위한 ‘오아시스 작전’에 나선 다목적 공중급유수송기 KC-330 2대가 18일 오후 이륙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아프리카 아덴만 해역에서 임무를 수행중이던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4400t급)에서 최악의 집단감염 사태가 벌어진 가운데 군 수뇌부를 향한 책임론이 들끓고 있다.

문무대왕함에서는 19일 179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5일 6명, 17일 1명, 18일 61명에 이어 누적 확진자가 247명에 달하게 됐다.

심각한 것은 청해부대 집단감염 발발과 확산 과정에서 그 어느 곳보다 치밀했어야할 군 당국의 대응에서 총체적 부실이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다. 초기대응부터가 주먹구구식이었다. 문무대왕함에서는 지난 2일 처음 감기 증상을 호소하는 장병이 나왔지만 유전자 증폭(PCR) 검사 의뢰가 아닌 감기약 처방이 전부였다. 이어 수십명의 장병들이 감기 증상을 호소했을 때도 신속항체검사 간이검사만 실시했고 음성판정으로 나오자 격리 등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결국 첫 감기 증상 호소 장병이 나온지 11일이나 지난 13일에서야 인접 국가 협조 아래 6명에 대한 PCR 샘플 검사를 의뢰했고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부랴부랴 늑장대응에 나섰다.

군 당국의 청해부대 장병들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미접종도 아쉬움을 남긴다. 서욱 국방부 장관은 앞서 지난 4월 해군 상륙함 고준봉함에서 38명의 확진자가 쏟아지자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해 “밀폐된 공간에서 항행작전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장병들한테 최우선적으로 접종을 시킬 생각”이라고 밝혔지만 문무대왕함은 사각지대로 남고 말았다. 강대식 국민의힘 의원은 “이번 집단감염 사태는 인재”라면서 “국방부는 지난 1월 이미 파병부대를 고위험군으로 분류했고 이후 해외체류중인 인원은 유엔과 파병국 백신 접종 계획과 연계해 자발적 동의를 전제로 현지에서 접종하고 있다고 보고했는데 청해부대만 예외가 적용됐다”고 지적했다. 백신 접종이 어렵다면 방역 대책이라도 철저히 이뤄졌어야했는데 이마저 지켜지지 못했다.

국방부는 이 같은 비판이 제기되자 오히려 유감을 표명하고 반발하는가하면 변명하는 듯한 모습마저 보였다. 문무대왕함이 군 의료진 우선 접종이 시작된 3월보다 앞선 2월 출항했고 백신 보관 기준 제한 등으로 접종이 불가능했으며 이상발생시 응급대처가 제한됐다는 점 등을 고려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빛부대와 동명부대, 아크부대 장병 일부가 현지에서 접종을 받고 있고 청해부대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파병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유엔과 현지 국가와 적극적인 군사외교에 나섰다면 접종이 불가능한 일만은 아니었다는 비판이 뒤따른다.

국방부가 문무대왕함 장병 전원의 후송을 위한 다목적 공중급유수송기 KC-330 2대를 투입하는 ‘오아시스 작전’에 나서면서 민망한 자화자찬을 늘어놓았다는 뒷말도 나온다. 국방부가 KC-330 2대를 현지로 보내면서 “서 장관은 현지 국가 국방장관과 긴급 공조 통화를 통해 현지 임무수행에 있어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다”고 밝힌 대목이 문제가 됐다. 군 안팎에선 “국방부가 올해 들어 부실급식 사태부터 공군 여중사 성추행 사망사건, 그리고 청해부대 집단감염까지 뒷수습에만 급급한 형편인데, 장관의 긴급 공조 통화 운운은 낯 뜨거운 일”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