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미 사이버워킹그룹 가동키로 '증가하는 사이버위협 공동대응'
서훈 국가안보실장[연합]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정부는 16일 '한미 사이버 워킹그룹'를 가동해 증가하는 글로벌 사이버 위협에 미국과 공동대응하기로 했다. .

정부는 이날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서훈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사이버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화상으로 열린 회의에는 16개 부처 차관급 인사가 참석했다.

한미사이버 워킹그룹 가동은 지난 5월 한미정상회담 합의에 따른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사이버 안보 협력을 심화하기로 합의했다.

정부는 또 사이버 안보가 국가안보와 직결됐다는 인식 아래 해킹을 비롯한 다양한 사이버 위협에 선제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서훈 실장은 "랜섬웨어 공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어느 때보다 정부의 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특히 코로나로 사이버 의존도가 심화하는 상황에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정부기관이 대비체계를 점검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회의에서는 국가 사이버 대응체계 강화 방안이 논의된 데 이어 국가 사이버위협정보 공유체계 구축, AI(인공지능) 기반 탐지기술 개발 등 주요 국가사이버안보전략 이행 실적에 대한 점검이 이뤄졌다.

또 국가정보원은 현재 민·관·군으로 분리된 사이버 경보발령 체계를 통합·일원화하겠다고 보고했다.

이와함께 국정원은 민·관 사이버 안보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한미간 정보·기술 교류를 확대하고, 우방국 정보기관들과 함께 사이버 관련 협력을 한층 심화해 나가겠다고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국가 중요기반 시설의 범위 확대, '데이터 금고' 구축을 통한 중소기업의 백업 지원, '내 PC 돌보미 서비스' 확대 등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방위사업청은 첨단 방산기술 유출 위협 요인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방산기술보호법 개정, 방산기술 보호 전문기관 설립, 모든 방산업체로의 사이버 보안 취약점 진단, 미국의 방산 사이버 보안 인증제도 도입 등을 통해 사이버 보안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보고했다..

서훈 실장은 "단 한 번의 해킹사고로도 국민 생활에 막대한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사회기반시설과 국가안보와 직결된 첨단 방산기술 보호에 있어 비상사태에 준해 최고 수준의 보안관리 체계를 구축해 달라"고 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