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수인재 이탈 막아라”...국민연금, 기금운용 보상체계 개편 추진
보건복지부 컨설팅 용역 발주
근무여건 개선 방안도 마련

지방이전 직후부터 기금 운용인력 이탈이 끊이지 않고 있는 국민연금이 인력 보상체계의 개편을 추진한다. 국민 노후의 안전판이자 세계 수위권의 운용자산 규모를 보유하고 있는 국민연금이 우수 인력을 유치하기 위해 자구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8일 투자은행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는 지난 6일 ‘국민연금 기금운용 보상체계 개편방안 컨설팅 용역’ 공고를 내고 국내 컨설팅사를 대상으로 입찰을 개시했다. 입찰 기간은 이달 20일까지며, 총액입찰 후 협상에 의해 계약이 이뤄지는 제한경쟁입찰 방식으로 진행된다.

보건복지부는 “현재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보수 수준이 지방 이전에 따른 운용인력 이탈의 원인인 동시에 우수인재 확보 장애요인이라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며 연구용역 추진 배경을 밝혔다. 운용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기금운용직 보상 수준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만성적인 인력난을 겪어 왔다. 지난 2017년 전북 전주 이전 직후부터 인력 이탈은 더욱 가속화됐다.

국민연금은 국내 제일의 기관투자자로 금융기관과 투자 대상 회사에 막강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어 선망되는 직장임에도 불구하고 지방 근무와 기타 연기금·민간 투자기업에 비해 적은 보상체계로 인력 이탈이 심화되고 있다. 지난 5년여간 운용역 절반 가까이 물갈이되는 등 근속연수도 짧다.

이는 국민 노후를 책임지는 기금 운용능력 저하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기금운용본부의 지방 주재는 국회 등 서울에 있는 관계기관 보고, 서울 소재 금융기관 및 투자회사, 서울을 찾는 외국 운용사 등과의 상시적인 소통에 비효율성을 낳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서울사무소 설치 목소리가 높아졌지만 ‘기금이사가 관장하는 부서의 소재지를 전라북도로 한다’는 국민연금법을 둘러싼 해석 문제가 있어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이번 컨설팅에서는 현행 보상체계를 진단하고 개편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골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외부 민간 자산운용업계나 국내외 주요 연기금과의 비교를 통해 현행 보상 수준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우수인재 확보 애로사항과 장기 근무 기피 사유 등을 분석할 전망이다. 보상체계 개편 외에도 장기근속 제고를 위한 근무여건 개선 방안도 논의된다. 잦은 서울 출장 등에 대한 교통비 지원, 원격근무 확대, 해외 연수기회 부여 등 다양한 유인책이 논의 테이블에 올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은행(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젊은 운용역들 사이에서 다양한 투자기회를 배울 수 있는 곳으로 여겨지는 국민연금이 경쟁력을 더욱 높이려면 합리적인 보상체계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세진 기자

jin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