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0월 G20 회의前 바이든-시진핑 첫 대면 시사
美 캠벨 조정관, 화상 간담회
주요 현안 놓고 직접대화 기회
연내 美서 쿼드 정상회의 재확인

미국 백악관의 ‘아시아 차르’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조정관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간의 대면 가능성을 시사하고 나섰다.

미 백악관에서 아시아·태평양 정책을 총괄하는 캠벨 조정관은 6일(현지시간) 아시아소사이어티가 주최한 화상 간담회에서 미중 양국 정상이 오는 10월 이탈리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이나 그 이전에 함께 할 수 있겠냐는 질문에 “양 정상이 평가할 것이라 생각한다”며 “내 예상은 우리가 너무 머지않은 시점에 어떤 종류의 관여(engagement)를 할 것이란 점”이라고 말했다.

캠벨 조정관의 이번 발언은 미중 정상이 각종 현안을 놓고 직접 대화할 기회를 가질 것이고, 시점은 G20 정상회의 이전이 될 수도 있다는 뜻을 담은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 1월 바이든 미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양국 정상은 전화 통화만 했으며 아직 직접 만난 적은 없다. 지난 6개월여간 바이든 행정부는 동맹 규합을 통한 대중(對中) 포위망 강화 등을 통해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보다 더 강도 높게 중국을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캠벨 조정관은 이날 미국, 일본, 호주, 인도 등 4개국의 대 중국 견제 협의체인 ‘쿼드(Quad)’ 정상회의를 바이든 대통령이 연내 미국에서 주최할 것이란 점을 재확인했다.

캠벨 조정관은 “여러분은 올해 하반기에 바이든 대통령이 워싱턴DC에서 쿼드 정상들의 만남을 주재하는 것을 볼 것”이라며 “이번 회담이 백신 외교와 인프라 관련 협력 강화에 결정적인 헌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3월 화상으로 개최된 첫 쿼드 정상회의에서 중국의 백신 외교에 대응해 쿼드 회원국들이 협력해 백신 생산을 늘려 인도태평양 지역 등에 공급하기로 했다.

또 지난달 영국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의 주도로 중국의 거대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에 대응하는 새 글로벌 인프라 파트너십인 ‘더 나은 세계 재건(B3W, Build Back Better World)’을 구축하자는 합의가 이뤄진 바 있다.

캠벨 조정관은 미국은 대만과 비공식적 관계를 지지하지만 대만의 독립을 지지하지는 않는다며 대 중국 발언에 대한 수위 조절에 나섰다.

다만, 중국이 홍콩에서 한 것과 유사한 조처를 대만에서 하려는 노력은 큰 재앙이 될 것이라며 미국은 중국의 조처가 국제 질서와 명백히 상반될 경우 파트너들과 함께 상응한 신호를 계속 보낼 것이란 경고도 남겼다.

신동윤 기자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