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예상밖 美 5월 CPI, 본격적인 물가 상승 국면? 일시적 현상?
美 CPI 1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
전문가들 “코로나19 기저효과 사라지면서 물가 상승도 누그러질 것”
예상을 웃도는 가파른 상승세에 연준 ‘테이퍼링’ 논의 착수 가능성도
[로이터]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미국의 소비자 물가 지표가 지난 2008년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최근 물가 상승 움직임이 일시적일 것이란 진단이 여전히 힘을 받고 있지만, 동시에 큰 폭의 물가 상승이 지속되면서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가 곧 본격적인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논의를 시작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10일(현지시간) 미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CPI)는 전년 동월보다 5.0% 증가했다. 이는 전문가 전망치 4.7%도 웃도는 수준이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8% 올라 1992년 이후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다.

이 같은 물가 급등은 지난해 코로나19 사태의 충격으로 소비 수요가 급감함에 따른 기저효과와 최근 경제 정상화로 인한 공급 부족 현상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관건은 최근의 물가 상승이 일시적 현상으로 마무리될지, 혹은 장기화되면서 통화정책 전반의 변화로 이어질지 여부다. 현재 연준과 미 재무부 등은 물가 상승이 경기 회복국면에 목격될 수 있는 일시적 현상이며, 최대 고용과 2% 수준의 평균 물가 상승률을 달성할 때까지 완화기조를 유지할 것이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전문가도 차츰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물가 상승세도 어느정도 누그러질 것이라며 과도한 인플레이션 우려를 경계했다.

줄리아 코로나도 매크로폴리시 퍼스펙티브 창립자는 “지금이 정점이라고 본다”며 “다시 물가가 완화될 것이란 것은 우리 모두가 알지만, 문제는 얼마나 완화될 것인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스티븐 셔 골드만삭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 급등은 일시적”이라면서도 “과열의 위험은 있다”고 인정했다. 그러면서 그는 연준과 시중 은행들이 물가 상승 위험에 대처할 충분한 여력이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물가 지표가 가파르게 상향곡선을 그림에 따라 연준의 테이퍼링 논의도 앞당겨 질 것이란 전망에도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이르면 다음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논의가 이뤄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미 연준은 지난달 공개된 4월 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서 자산 매입 속도 조정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리서치회사인 에버코어 ISI의 중앙은행 전략책임자인 크리슈나 구하 부회장은 “이번 물가 지표는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연준의 기본 견해를 위협하지는 않는다”면서 “하지만 연준도 물가가 반드시 누그러질 것이란 데 전재산을 걸고 싶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