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더머니] 미 국방장관, 중국TF 권고 따라 대중견제 조치 착수
"인도·태평양 지역 병력태세 관련 권고 이뤄져"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로이터]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은 9일(현지시간) 미 국방부 내 중국 태스크포스(TF) 권고를 토대로 중국 견제 조치에 착수했다.

미 국방부는 이날 성명에서 "오스틴 장관이 중국 TF 권고에 따라 중국의 안보상 위협에 더 잘 대응하기 위한 여러 조치들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이 조치들은 국방부 내 절차와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국방부 고위직들이 대중 대응을 위한 범정부적 노력에 더 잘 기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시사항 다수는 미국의 동맹 및 파트너, 특히 인도·태평양 지역 동맹 및 파트너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능률을 키우기 위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주한미군은 미 인도·태평양 사령부 관할이라 주한미군 역시 이번 조치 시행 대상으로 보인다.

오스틴 장관은 "오늘 지시는 동맹 및 파트너와의 네트워크를 재활성화하고 억지를 강화하며 새 운용 개념 개발과 미래의 병력 태세, 병력 현대화 등에 대한 국방부의 역량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미 국방부는 이번 지시의 구체적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한 국방부 당국자는 정치전문매체 더힐에 "우리는 인도·태평양 지역 병력태세를 면밀하게 살펴봤고 그런 측면에서 권고가 이뤄졌다"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미 국방부는 '전세계 병력태세 검토'(Global Posture Review)를 진행 중이다. 이 검토에서 주한미군의 임무를 한반도 이외 지역으로 확장할지 여부가 주목받고 있다.

폴 라카메라 주한미군사령관 지명자는 지난달 인준 청문회에서 미 인도·태평양 사령부의 비상상황과 작전계획에 주한미군의 병력과 역량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지지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국방부 내 중국 TF는 2월 조 바이든 대통령의 지시로 설치된 것으로, 4월 장관에 초안을 보고했고, 이번에 최종 권고안을 내놓고 해산한다. TF를 이끌었던 일라이 래트너는 국방부 인도·태평양 안보담당 차관보를 맡기로 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 견제를 대외정책의 핵심으로 여기고 있다. 오스틴 장관 역시 중국을 '추격하는 위협'으로 규정하며 대중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